본문바로가기

자료 카테고리

전체 1
도서자료 1
학위논문 0
연속간행물·학술기사 0
멀티미디어 0
동영상 0
국회자료 0
특화자료 0

도서 앰블럼

전체 (1)
일반도서 (0)
E-BOOK (0)
고서 (0)
세미나자료 (0)
웹자료 (1)
전체 (0)
학위논문 (0)
전체 (0)
국내기사 (0)
국외기사 (0)
학술지·잡지 (0)
신문 (0)
전자저널 (0)
전체 (0)
오디오자료 (0)
전자매체 (0)
마이크로폼자료 (0)
지도/기타자료 (0)
전체 (0)
동영상자료 (0)
전체 (0)
외국법률번역DB (0)
국회회의록 (0)
국회의안정보 (0)
전체 (0)
표·그림DB (0)
지식공유 (0)

도서 앰블럼

전체 1
국내공공정책정보
국외공공정책정보
국회자료
전체 ()
정부기관 ()
지방자치단체 ()
공공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정부기관 ()
의회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국회의원정책자료 ()
입법기관자료 ()

검색결과

검색결과 (전체 1건)

검색결과제한

열기
자료명/저자사항
3단계 장애범주 확대방안 연구 : 요약 / 변용찬 [외저] ; 한국보건사회연구원 [편] 인기도
발행사항
서울 :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06
청구기호
전자형태로만 열람 가능함
자료실
전자자료
내용구분
연구자료
출처
외부기관 원문
총서사항
정책보고서 ; 2006-61
면수
70
제어번호
NONB1200720208
원문
미리보기

목차보기더보기

표제지

머리말

목차

제1장 서론 12

제1절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2

제2절 연구의 내용 및 방법 14

제2장 장애 정의 및 판정 방법의 이론적 배경 15

제1절 장애모델 15

제2절 OECD 국가의 장애 정의 16

제3절 OECD 국가의 장애 판정 방법 16

제3장 주요 외국의 장애 정의 및 분류체계 17

제1절 주요 외국의 사회보장제도에서의 장애 정의 동향 17

제2절 주요 외국의 장애 정의 및 분류 체계 19

1. 영국 19

2. 미국 21

3. 독일 22

4. 일본 23

제4장 치매 24

제1절 치매환자 현황 24

제2절/제3절 국내외 치매 환자의 분류 및 등급기준 25

1. 미국의학협회(AMA) 기준 25

2. Mcbride 기준 26

3. 일본기준 26

4. 국내 기준 26

제3절/제4절 치매장애등급 및 기준 26

제4절/제5절 소결 27

제5장 만성알코올중독 27

제1절 만성알코올중독환자 현황 27

제2절/제3절 국내외 만성알코올중독환자의 분류 및 등급기준 28

제3절/제4절 소결 28

제6장 기타 발달장애 29

제1절 기타 발달장애인의 현황 29

제2절/제3절 국내외 기타 발달장애인의 분류 및 등급 기준 29

1. 미국의학협회(AMA) 기준 29

2. 맥브라이드 기준 30

3. 일본 30

제3절/제4절 기타 발달장애 등급 및 기준 30

제4절/제5절 소결 31

제7장 암 31

제1절 암환자 현황 31

제2절/제3절 국내 장애관련 법률에서의 암 장애 판정 기준 32

1. 국민연금법 32

2. 산업재해보상보험법 33

3. 장애인복지법 33

4. 그 밖의 장애와 관련된 국내법 33

제3절/제4절 주요 외국의 암 장애관련 법률 34

제4절/제5절 암 장애 등급 및 기준 36

1. 암 장애 등급 및 기준(안) 36

2. 암으로 인한 장애의 등급 및 기준 36

3. 관련된 장애 범주의 판정 기준 37

가. 소화기의 장애 37

나. 팔의 기능장애 38

다. 흉터의 장애 38

라. 조혈기의 장애 39

마. 생식기 장애 39

바. 일상생활 장애 40

사. 말기암 40

제5절/제6절 소결 41

제8장 확대예상범주 장애인의 생활실태 및 복지욕구 42

제1절 확대예상범주 장애인의 생활실태 42

1. 만성알코올ㆍ약물중독 42

2. 기질성 뇌증후군 43

3. 기타정신발달장애 43

4. 소화기장애 44

5. 비뇨기장애 45

6. 치매 45

7. 기타암 46

제2절 확대예상범주 장애인의 복지욕구에 대한 사례조사 46

1. 확대예상범주 장애인의 일반적 특성 47

2. 확대예상범주 장애인의 복지욕구 47

제3절 장애범주 확대에 따른 추가 소요 예산 49

제9장 척수장애 49

제1절 서론 49

제2절 척수장애의 현황 50

제3절/제4절 국내외 척수장애의 분류 및 등급기준 51

1. 미국의학협회(AMA) 기준 51

2. 맥브라이드(McBride) 기준 51

3. 일본의 기준 52

4. 국민연금 52

5. 산업재해보상보험법 53

제4절/제5절 분리시 장애등급 및 기준 53

1. 척수장애를 지체장애에서 분리하여야 하는 필요성 53

2. 장애등급 산정시 고려해야 할 점 53

3. 척수장애 등급의 제안 55

4. 판정 기준 55

5. 판정 개요 55

제5절/제6절 소결 56

제10장 안면장애 56

제1절 서론 56

제2절 안면장애의 현황 57

제4절 외국의 장애분류 및 등급기준표 57

제5절 우리나라 타제도에서의 장애분류 및 등급기준 58

제6절 장애분류 및 등급기준안 59

1. 장애의 법위 59

2. 장애등급별 구분 및 설명 59

제7절 장애판정지침 60

1. 개요 60

2. 세부기준 60

가. 장애등급기준 규정안 60

나. 판정요령 61

제11장 결론 및 정책제언 62

제1절 결론 62

제2절 정책제언 63

1. 새로운 장애 정의의 필요성 63

2. 새로운 판정체계의 필요성 64

3. 3단계 확대 예상 장애범주의 특성 및 우선순위 65

가. 치매 65

나. 만성 알코올중독 66

다. 기타 발달장애 66

라. 암 67

마. 확대예정범주 장애의 선정의 원칙 및 선정 우선순위 68

4. 정부의 장애인복지 인프라 개선 사업과의 연계 강화 68

5. 기존 장애범주의 개선 69

가. 척수손상 69

나. 안면장애 70

권호기사보기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