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제지

목차

01. 연구개요 6

가. 기본관점 6

나. 통사적 개관 6

다. 연구절차 7

1) 경로 탐색 7

2) 정체기(停滯期)에 대한 새로운 독법 7

3) 부가적 고려사항: "시점적(時點的) 미래에서 기간적(期間的) 미래로" 8

4) 접근법 8

라. 연구 결과 9

마. 요약 및 함의 11

1) 요약 11

2) 정책적 함의 12

02. 연구방법 14

가. 미래 담론의 분석 대상 14

1) 쟁점 파악을 통한 미래연구의 가능성 14

2) 미래담론의 화자(話者) 찾기 15

3) 미래담론의 언어적 특징 16

4) 경로에 대한 경향적 흐름 파악의 중요성 17

나. 분석 자료 19

1) 언론사 뉴스기사 19

2) 학술연구 논문 20

다. 자료처리방법 22

1) 자료 전처리 과정 22

2) 행렬 자료화 작업 24

3) 데이터 추출 및 정제 요약 25

라. 자료 27

1) 미래 포함 기사 건수 요약 27

2) 미래 포함 학술논문 건수 요약 28

03. 연구내용 29

가. 연구의 목적 및 방법 29

나. 결과 30

1) 상위 빈도수 주제어에 대한 정성적 내용분석 30

2) 주제어 종단 변화에 대한 정성적 분석 35

3) 주제어 종단 변화의 정량적 유형화 분석 39

4) 주제어 연결망 구조 분석 42

5) 주제어 사회적 벡터분석(SVA, Social Vector Analysis) 49

04. 연구결론: 정책적 함의와 평가 66

가. 한국 사회의 부조화(Mismatch) 패러다임 66

1) 빅데이터 분석으로 본 부조화 패러다임 66

2) 부조화 패러다임의 특징과 효용성 68

나. 부조화 패러다임의 심층적 분류 69

1) 지체형(遲滯型) 부조화와 미비형(未備型) 부조화 69

2) 지체형 부조화와 미비형 부조화로 진단하는 한국사회 문제군 71

다. 미래 전략의 모색 81

라. 부조화 패러다임의 관점에서 본 문재인 정부의 100대 국정과제 분석 82

1) 정책 패러다임의 방향과 전략 83

2) 문재인 정부 100대 국정과제 분석 및 평가 84

마. 향후 과제 90

참고자료 92

참고문헌 99

표 1. 기술사회구성체론의 관점에서 본 인류사회의 변천 도식 6

표 2. 문서×단어 행렬: 문서의 단어 포함 여부 24

표 3. 단어×단어 행렬: 단어 사이의 연관성 여부와 강도 24

표 4. 매체지 연도별 주제어 빈도표 27

표 5. 학술지 연도별 주제어 빈도표 28

표 6. 매체지와 학술지 상위 20위 주제어 비교 33

표 7. 매체지 주제어의 종단적 변화 35

표 8. 학술지 주제어의 종단적 변화 37

표 9. 매체지 상위 20위 주제어의 연관어 43

표 10. 학술지 상위 20위 주제어의 연관어 43

표 11. 매체지 SVA 결과 53

표 12. 학술지 SVA 결과 58

표 13. 부조화 패러다임에 준거한 사회문제 진단 66

표 14. 매체지와 학술지의 항상적 상위 키워드 비교 67

표 15. 매체지와 학술지의 상위 키워드 영역 비교 67

표 16. 부조화 유형에 따른 한국사회 문제 진단 70

표 17. 문재인 정부 100대 국정과제 유형 분류 86

표 18. 미래 관심 키워드 빅데이터 최상위 영역과 국정과제 관련도 87

표 19. 부조화 패러다임으로 본 문제인 정부 국정과제 분류 87

그림 1. 거시사회적 동향의 축도 8

그림 2. KCI 홈페이지: kci.go.kr 21

그림 3. 매체지 출현 빈도 순위 (2005-2016년) 31

그림 4. 학술지 출현 빈도 순위 (2005~2016년) 32

그림 5. 주제어 종단적 변화의 유형화 39

그림 6. 매체지 핵심 주제어 비중 변화 추이 40

그림 7. 학술지 핵심 주제어 비중 변화 추이 41

그림 8. 매체지 주제어 연결망 구조 45

그림 9. 매체지 주제어 집중도 구조 46

그림 10. 학술지 주제어 연결망 구조 47

그림 11. 학술지 주제어 집중도 구조 48

그림 12. SVA 예시 49

그림 13. SVA 종단분석 예시 50

그림 14. 매체지-균형도 최상위 주제어 52

그림 15. 학술지-균형도 최상위 주제어 52

그림 16. 매체지 주제어 SVA 종단변화 - 한국과 글로벌 54

그림 17. 매체지 주제어 SVA 종단변화 - 국제 55

그림 18. 매체지 주제어 SVA 종단변화 - 경제 56

그림 19. 매체지 주제어 SVA 종단변화 - 정치 56

그림 20. 매체지 주제어 SVA 종단변화 - 기술 57

그림 21. 매체지 주제어 SVA 종단변화 - 사회 58

그림 22. 학술지 주제어 SVA 종단변화 - 사회 59

그림 23. 학술지 주제어 SVA 종단변화 - 일과 조직 60

그림 24. 학술지 주제어 SVA 종단변화 - 자아 60

그림 25. 학술지 주제어 SVA 종단변화 - 문화와 민족 61

그림 26. 학술지 주제어 SVA 종단변화 - 삶의 질 62

그림 27. 학술지 주제어 SVA 종단변화 - 세대 63

그림 28. 학술지 주제어 SVA 종단변화 - 기술 64

그림 29. 제3차 저출산ㆍ고령사회 기본계획의 패러다임 전환 71

그림 30. 국민의 삶의 질 영역별 종합지수 증가율 78

그림 31. 미래 모델의 새로운 모색 82

그림 32. 균형적 정책 패러다임 전략 83

그림 33. 재조화 정책 패러다임 전략 84

그림 34. 문재인 정부 국정운영 5개년 계획 8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