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제지

목차

Executive Summary 2

Ⅰ. CBDC (Central Bank Digital Currency) 시대의 개막 4

1. CBDC 개념 4

2. CBDC의 글로벌 부상 5

3. 한국은행 실증실험 본격화 7

Ⅱ. CBDC 부상 배경 8

1. 시장 가치 8

2. 디지털 경제 통제력 확보 10

Ⅲ. CBDC 도입 사례 11

1. 역내 결제 : 한국은행 CBDC 활용성 테스트('24~) 12

2. 국경간 결제 : m-CBDC('22) 13

3. 생태계 구축 : Progmat('23) 14

Ⅳ. CBDC와 일상의 변화 15

1. 현금과 카드 없는 사회로의 가속화 15

2. 전자지갑 기반의 개인 맞춤형 금융 확대 16

3. 새로운 금융서비스로 확대 17

참고문헌 18

표목차

표 1. CBDC의 분류와 특징 4

표 2. CBDC 장점 및 기대효과 4

표 3. BIS 총재의 CBDC 발언(한국은행 CBDC 세미나) 5

표 4. 민간 스테이블코인의 주요 위험(Risk) 10

표 5. CBDC 도입 사례(예정 사례 포함) 11

표 6. CBDC 확산에 따른 일상의 변화 15

표 7. 전자지갑 기반의 개인 맞춤형 서비스와 CBDC 적용 가능성 16

그림목차

그림 1. 글로벌 CBDC 도입 현황(2023. 06) 5

그림 2. 디지털 위안화(e-CNY) 보급 현황 6

그림 3. 디지털 위안화(e-CNY) 발행 전망 6

그림 4. 한국은행 CBDC 실험 경과 및 계획 7

그림 5. CBDC 디지털 바우처 개념도 7

그림 6. CBDC 부상 배경 : 디지털 경제의 가치와 통제 8

그림 7. CBDC 시장 전망 8

그림 8. 디지털 경제와 CBDC의 부상 9

그림 9. 스테이블코인(USDT) 시가총액 10

그림 10. 한국은행 CBDC 기반 토큰자산 결제 사업 12

그림 11. 현 국경간 결제의 단점(SWIFT) 13

그림 12. CBDC 기반 국경간 결제의 장점 13

그림 13. Progmat의 사업 지향점 : 자체 생태계 구축을 통한 자산간 연결 체계 14

그림 14. CBDC를 통한 새로운 금융서비스의 출현 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