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표제지
목차
1. 인구구조 변화에 따른 도시 재구조화의 필요성 2
2. 일본의 입지적정화 제도 분석 7
3. 인구감소시기의 도시공간 재구조화 관련제도 13
4. 인천시의 입지적정화계획 도입을 위한 정책방향 17
참고문헌 22
판권기 23
[그림 1] 인천시 인구변화 추계(2022~2052년) 2
[그림 2] 인천시 군구별 순이동 인구규모 및 신도시(IFEZ) 인구이동 특성 3
[그림 3] 2018년 인천시 고령인구 비율 상ㆍ하위 행정동 3
[그림 4] 인천 원도심 지역의 늘어나는 빈집 및 나대지 현황(부평지역) 4
[그림 5] 역세권 중심의 도시설계 5
[그림 6] 일본의 입지적정화 개념 설명 8
[그림 7] 도시계획과 입지적정화계획의 관계 9
[그림 8] 입지적정화계획구역의 도시 골격 10
[그림 9] 특정용도유도지구의 개념 설명 11
[그림 10] 도야마시 컴팩트 도시 실현 전략 12
[그림 11] 꼬치와 경단 형태로 구성된 도야마시 공간구조 12
[그림 12] 서울시 생활인구 현황(2024년 11월 30일 기준) 13
[그림 13] 지역별 특성 및 교통수단을 고려한 집약적 도시계획 사례 14
[그림 14] 부산시의 15분 도시 전략을 위한 자전거 PM 전용노선 조성 현황 14
[그림 15] 인천 원도심 역세권(작전역) 도시재생혁신지구 후보지 선정 15
[그림 16] 서울시 이문3구역 결합개발 개념 16
[그림 17] 인천시의 입지적정화 도입을 위한 공간변화 제안 17
[그림 18] 주요 거점지역의 입체ㆍ복합공간 유도 계획 개념 및 구상(안) (인천대로-경인전철 결절점) 18
[그림 19] 역세권 유형별 영향권 범위 검토 예시(경인철도) 18
[그림 20] 초연결 역세권 구상 개념 19
[그림 21] 지하철~버스 환승시설 사례(시애틀)와 경인전철 지하화시 철도~버스 간 환승시스템 예시 19
[그림 22] 완전도로를 통한 보행이동 및 환승 시간 감소 개념 20
[그림 23] 타 도시의 경사형 엘리베이터 운영사례 21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