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제지 1

목차 1

기후기술 분류체계란 쉽게 말해? 5

기후기술 분류체계, 누가 만들고 있나? 7

분류체계로 할 수 있는 멋진 일들 20

기후기술 분류체계: 협력과 연결의 열쇠 24

참고문헌 26

기후탄소 이슈레포트 27

북극 툰드라 지역 탄소 저장소에서 배출원으로 전환 28

사람이 만든 제품 속에 저장된 탄소 총량 추정 연구 31

표목차 4

〈표 1〉 기후기술에 대한 그림 예시 4

〈표 2〉 분류체계에 따른 투자 우선순위 결정과 이해관계 6

〈표 3〉 기후변화대응 기술 세부내용 고시 분류 13

〈표 4〉 한국형 탄소중립 100대 핵심기술 목록 15

〈표 5〉 기후기술 분류체계 16

〈표 6〉 녹색산업 분류체계(산업연구원, 2020) 17

〈표 7〉 기후변화 적응 분류체계(일부) 18

〈표 8〉 기후변화대응 기술 관련 분류체계 요약 19

〈표 9〉 기후기술 중분류별 '19-23년 R&D 투자 현황 21

〈표 10〉 기후기술 분야 기술혁신을 위한 개선, 시사점 발굴 등 기초자료로서의 역할 수행 23

그림목차 5

[그림 1] 기술혁신과정 5

[그림 2] 기술분류체계의 트리형식 구조 6

[그림 3] IPCC 분류 현황 7

[그림 4] IRENA 정보 제공 현황 8

[그림 5] UNFCCC TT:CLEAR 제공 정보 현황 9

[그림 6] WIPO Green 분류체계 10

[그림 7] IEA Energy Technology Perspective 2020 11

[그림 8] 기후기술 대분류별 '19-23 R&D 투자현황 20

[그림 9] 기후기술 중분류별 전년, 5개년 대비 증감율 현황 21

사진목차 28

북극 툰드라 지역 탄소 저장소에서 배출원으로 전환 28

[사진 1] 2002-2020년 사이 북극 평균 탄소 흡수 및 배출 지도 28

[사진 2] 툰드라 전경 29

사람이 만든 제품 속에 저장된 탄소 총량 추정 연구 31

[사진 1] 인프라스트럭쳐 이미지 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