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제지 1

목차 1

요약 2

Ⅰ. 노동시간 실태 3

1. 연도별 추이 3

2. 국제 비교 9

Ⅱ. 실 노동시간 단축 목표 12

Ⅲ. 노동시간 단축 방안 13

1. 정상근로시간 13

2. 비사회적 근로 16

3. 휴일휴가 24

4. 적용제외 축소 26

5. 근로감독 27

참고문헌 28

〈표 1〉 2018~22년 노동시간 법개정 주요 내용 5

〈표 2〉 주당 근로시간 분포(2013~24년, 노동자 기준) 7

〈표 3〉 사업체 규모별 노동시간 분포(2024년) 8

〈표 4〉 연도별 유연근무제 활용 비율(2018~24년) 8

〈표 5〉 사업체 규모별 주40시간(주5일) 근무제 실시 현황 14

〈표 6〉 연장근로시간 제한의 고용효과 (2023년, 노동자) 17

〈표 7〉 휴일근로 여부별 노동자수(비율)와 주당 노동시간(2023년, 특수고용 제외) 19

〈표 8〉 교대제 노동자 수와 주당 노동시간 평균과 분포(2023년, 특수고용형태 제외) 23

〈그림 1〉 주간 노동시간과 연간 노동시간 추이(취업자, 1980~2024년) 3

〈그림 2〉 OECD 국가의 연간 노동시간 비교(2023년, 취업자 기준) 9

〈그림 3〉 OECD 국가의 연간 노동시간 비교(2023년, 노동자 기준) 10

〈그림 4〉 주당 노동시간 분포(2023년, 취업자 기준) 10

〈그림 5〉 정부 공식 통계와 OECD 보고 통계 비교 11

〈그림 6〉 노동시간 단축 목표와 방안 12

〈그림 7〉 주 40시간(주 5일) 근무자 비율과 평소 근로시간 추이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