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제지 1

목차 2

Ⅰ. 초고령화 실태 및 영향 3

1. 현황 및 전망 3

(1) 초고령사회 진입('24.12), 세계에서 가장 빠르게 늙어가는 국가 3

(2) 최근 고령화 속도 가속화 → 20년 뒤 세계에서 가장 늙은 국가 3

(3) 고령층 내 고령화도 심화 → 25년 뒤 국민 4명 중 1명이 75세 이상 4

2. 초고령화의 파급 효과 5

(1) 노동공급 감소 등으로 성장세 둔화 → 경제성장 멈춤 위험 5

(2) 연금․의료비 등 사회적 지출 폭증 → 사회ㆍ복지시스템 붕괴 우려 6

(3) 경제ㆍ사회 전반의 불균형ㆍ격차 심화 7

(4) 경제적ㆍ신체적ㆍ정서적 어려움 직면 → 개인 삶의 질 저하 8

Ⅱ. 그간의 정책 대응 평가 10

1. 선제적ㆍ근본적ㆍ종합적 접근 부족 10

2. 부족한 지원, 그마저도 낮은 실효성 11

3. 정책환경 변화에 적시 대응 미흡 12

Ⅲ. 정책수요자 실태조사 13

Ⅳ. 주요국 고령사회 대응 정책 사례 15

(1) (일본) 계속고용 단계적 제도화 노력 + 지역 통합돌봄체계 구축 15

(2) (영국) 고독문제 적극 대응 등 돌봄강화 + 전달체계 효율화 15

(3) (독일) 사적연금 활성화 + 시설보다 재가돌봄 혜택이 크도록 지원설계 16

(4) (스웨덴) 확정기여형으로 연금체계 개편 + 돌봄 받을 권리 보장 16

Ⅴ. 종합평가 17

Ⅵ. 초고령화 대응방향 18

1. 기본방향 18

2. 분야별 대응과제 20

(1) 계속 일할 수 있는 고용여건 조성 및 노후소득보장 강화 20

(2) 지역사회 계속거주를 위한 통합돌봄체계 강화 21

(3) Age-Tech 기반 실버경제 등 신성장동력 육성 22

3. 향후 추진계획 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