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제지 1

목차 1

Ⅰ. 시나리오 개요 2

Ⅱ. 전환 및 물리적 리스크 5

1. 전환 리스크 5

1.1. 추정 방법 5

1.2. 시나리오별 추정치 5

2. 물리적 리스크 8

2.1. 추정 방법 8

2.2. 시나리오별 추정치 9

Ⅲ. 거시경제적 영향 11

1. 성장ㆍ물가: 전환ㆍ만성 리스크의 실물경제 영향 11

1.1. 분석 방법론 11

1.2. 분석 결과 13

2. 자연재해 피해: 급성 리스크의 실물경제 영향 22

2.1. 분석 방법론 22

2.2. 분석 결과 23

3. 기타 변수(금리ㆍ실업률) 25

3.1. 분석 방법론 25

3.2. 분석 결과 25

Ⅳ. 시사점 27

참고문헌 42

표목차 9

〈표 1〉 기상청 기후변화 표준시나리오와 NGFS 시나리오의 경로별 연계 9

〈표 2〉 지역별 태풍ㆍ홍수 피해 규모(상위 5개 지역 기준) 23

그림목차 2

〈그림 1〉 기후대응 경로 2

〈그림 2〉 기후변화 시나리오 구조 3

〈그림 3〉 NGFS의 전환 리스크 추정모형 개요 5

〈그림 4〉 탄소배출량 감축 경로 5

〈그림 5〉 탄소가격 경로 6

〈그림 6〉 재생에너지 보급 경로 7

〈그림 7〉 탄소 포집ㆍ저장 기술 보급 경로 7

〈그림 8〉 우리나라 연평균기온 변화 경로 9

〈그림 9〉 우리나라 폭염일수 변화 경로 9

〈그림 10〉 우리나라 연평균강수량 변화 경로 10

〈그림 11〉 극한 강수량 변화 10

〈그림 12〉 성장ㆍ물가 분석 방법론 개요 11

〈그림 13〉 전환 리스크 분석 방법론 개요 12

〈그림 14〉 국내 만성 리스크 분석 방법론 개요 12

〈그림 15〉 해외 만성 리스크 분석 방법론 개요 13

〈그림 16〉 GDP에 미치는 영향 14

〈그림 17〉 리스크별 GDP 영향 14

〈그림 18〉 주요 전환 리스크 취약산업의 부가가치 변화 16

〈그림 19〉 주요 만성 리스크 취약산업의 부가가치 변화 17

〈그림 20〉 생산자물가 영향 18

〈그림 21〉 주요 전환 리스크 취약산업의 생산자물가 변화 19

〈그림 22〉 주요 만성 리스크 취약산업의 생산자물가 변화 20

〈그림 23〉 온실가스 다배출 업종의 탄소비용 전가 정도에 따른 부가가치 변화 21

〈그림 24〉 급성 리스크 분석 방법론 개요 22

〈그림 25〉 전국 태풍ㆍ홍수 피해 규모 24

〈그림 26〉 지역별 태풍ㆍ홍수 피해 규모 24

〈그림 27〉 금리 변화 26

〈그림 28〉 실업률 변화 26

박스목차 29

BOX 1. 물리적 리스크(기후변화 요소) 산출 방법론 29

BOX 2. 전환 리스크 영향 추정 방법론 31

BOX 3. 국내 만성 리스크 영향 추정 방법론 34

BOX 4. 해외 만성 리스크 영향 추정 방법론 36

BOX 5. 리스크(전환ㆍ만성)별 취약산업 38

BOX 6. 홍수 피해 추정 방법론 40

박스표목차 30

〈표 A1〉 표준시나리오의 기후지수 구성 항목 및 정의 30

박스그림목차 29

〈그림 A1〉 국가 기후변화 표준 시나리오 생산체계(전지구→동아시아→남한상세) 29

〈그림 A2〉 지구시스템모델 발전 단계 29

〈그림 A3〉 해외 만성 리스크 분석 방법론 개요 36

〈그림 A4〉 전환ㆍ만성 리스크가 산업별 부가가치에 미치는 영향 3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