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제지 1

목차 3

Ⅰ. 들어가며 4

Ⅱ. 범죄 예방을 위한 AI 기술 확장 과정 4

1. 객체 인식 기반 감시 기술 5

2. 행동 분석 기술 5

3. 음향 기반 감지 기술 6

4. 실시간 연동 체계 7

5. 예측형 치안 전략 7

6. 자율 판단형 AI 감시체계 8

Ⅲ. 국내ㆍ외 지방자치단체의 AI를 활용한 범죄 예방 사례 9

1. 국내 사례 9

1-1. AI 기반 통합 방범 인프라 스마트폴 구축 사업 추진(전라남도) 9

1-2. CCTV 사각지대 대응을 위한 모바일 감시 플랫폼 도입(서울 성동구) 10

1-3. AI 지능형 선별 관제 시스템 화면(전북특별자치도 군산시) 11

2. 국외 사례 11

2-1. 고령화 지역 중심 범죄 예방을 위한 스마트 감시체계 구축(일본 나고야시) 11

2-2. 지하철 내 선제적 보안 대응을 위한 AI 무기 탐지 기술 도입(미국 뉴욕시) 12

2-3. AI 기반 아동학대 예방 시스템 도입(영국 런던 해크니 자치구) 13

Ⅳ. 시사점 및 앞으로의 방향 13

1. 지역 맞춤형 치안 전략 14

2. 데이터 기반 디지털 인프라 강화 14

3. 개인정보 보호 및 윤리적 기준 마련 14

4. 중앙정부-지방자치단체 간 협력 체계 구축 14

참고문헌 15

그림목차 5

그림 1. 도로 위 차량 감지 화면 5

그림 2. 공공장소 내 싸움 감지 화면 6

그림 3. 도심 내 총성 탐지를 위한 음향 기반 기술 6

그림 4. AI 기반 이상행동 감지 및 알림 시스템 아키텍처 7

그림 5. 데이터 기반 범죄 예측 및 대응 체계 흐름도 8

그림 6. 무인항공기를 이용한 자율형 감시체계의 판단 및 실행 구조 8

그림 7. AI 기반 통합 방범 인프라 스마트폴 설치 사진 10

그림 8. 스마트폰 기반 실시간 안전 서비스 안심이 기능 10

그림 9. AI 지능형 선별 관제 시스템 화면 11

그림 10. CRIME NABI 기반 맞춤형 순찰 앱 화면 12

그림 11. Evolv Technology 시스템의 무기 탐지 알림 화면 12

그림 12. 해크니 자치구 아동학대 예방 시스템 사용 장면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