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제지 1

목차 1

요약 2

서론 3

제1장. 미래의 한국 가구: 2050년 인구 지도를 그리다 4

1. 총인구는 감소, 가구 수는 증가 4

2. 가구의 소형화: 1-2인 가구가 지배하는 사회 4

3. 가구의 고령화: 전체 가구의 절반이 노인 가구주인 미래 5

4. 가구 구조의 다변화: 여성 가구주와 비혼 가구의 증가 6

제2장 세계 속 한국 가구: OECD 비교로 본 현주소 8

1. 통계의 함정: 1인 가구 비율, 왜 조사마다 다른가? 8

2. 평균 가구원 수 국제 비교: OECD 평균보다 작은 한국 8

3. 1인 가구 비율 국제 비교: OECD 평균을 넘어서다 9

4. 국제 통계 활용의 유의점: OECD 자료는 믿을 만한가? 11

결론: 요약 및 정책적 함의 12

표목차 7

〈표 1〉 가구주의 성별, 혼인상태별 분포 추이(2000-2050년) 7

〈표 2〉 가구 정의 차이 8

〈표 3〉 OECD 회원국의 가구 유형 분포(2021년) 10

〈표 4〉 가구 유형별 분포(2012-24년) 11

그림목차 4

〈그림 1〉 총인구와 가구 수 추이(2000~2052년) 4

〈그림 2〉 가구원수별 가구 비중 추이(2000~2052년) 5

〈그림 3〉 가구주의 연령별 분포(2000~2052년) 5

〈그림 4〉 1인 가구 가구주의 연령별 분포(2000~2052년) 6

〈그림 5〉 가구주의 성별, 혼인상태별 분포(2000-2050년) 7

〈그림 6〉 OECD 국가의 가구당 평균 가구원 수(2021년) 9

〈그림 7〉 OECD 국가의 1인 가구 비율(2021년)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