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자료 카테고리

전체 1
도서자료 0
학위논문 1
연속간행물·학술기사 0
멀티미디어 0
동영상 0
국회자료 0
특화자료 0

도서 앰블럼

전체 (0)
일반도서 (0)
E-BOOK (0)
고서 (0)
세미나자료 (0)
웹자료 (0)
전체 (1)
학위논문 (1)
전체 (0)
국내기사 (0)
국외기사 (0)
학술지·잡지 (0)
신문 (0)
전자저널 (0)
전체 (0)
오디오자료 (0)
전자매체 (0)
마이크로폼자료 (0)
지도/기타자료 (0)
전체 (0)
동영상자료 (0)
전체 (0)
외국법률번역DB (0)
국회회의록 (0)
국회의안정보 (0)
전체 (0)
표·그림DB (0)
지식공유 (0)

도서 앰블럼

전체 1
국내공공정책정보
국외공공정책정보
국회자료
전체 ()
정부기관 ()
지방자치단체 ()
공공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정부기관 ()
의회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국회의원정책자료 ()
입법기관자료 ()

검색결과

검색결과 (전체 1건)

검색결과제한

열기
논문명/저자명
공공도서관의 커뮤니티 거점 역할 연구 : 맨발동무도서관을 중심으로 / 허소희 인기도
발행사항
부산 : 부산대학교 대학원, 2016.8
청구기호
TM 020 -16-61
형태사항
v, 98 p. ; 26 cm
자료실
전자자료
제어번호
KDMT1201642173
주기사항
학위논문(석사) -- 부산대학교 대학원, 문헌정보학과, 2016.8. 지도교수: 이용재
원문

목차보기더보기

표제지

목차

I. 서론 8

1. 연구배경과 목적 8

2. 연구방법과 범위 9

1) 연구방법 9

2) 연구범위 11

3. 연구대상 12

4. 선행연구 13

1) 도서관의 커뮤니티 거점 역할의 수행 14

2) 도서관의 사회적 역할에 관한 연구 15

3) 커뮤니티 활동 및 거점에 관한 연구 17

II. 커뮤니티 거점의 개념 18

1. 커뮤니티의 개념 18

2. 커뮤니티 거점의 역할 19

3. 공공도서관의 커뮤니티 거점 역할에 대한 개념 정의 22

4. 연구의 분석틀 26

III. 커뮤니티 형성 사례: 부산시 북구 화명2동 35

1. 1970년 이전: 마을공동제 형성 시기 35

2. 1980년대: 이주민 증가 시기 36

3. 2000년대: 마을공동체 확대·발전 시기 38

1) 대천천네트워크 형성 38

2) 북구공동육아협동조합의 등장 40

4. 커뮤니티 형성 현황 42

1) 대천천네트워크 43

2) 북구공동육아협동조합 44

3) 대천마을학교 45

4) 어린이책시민연대 부산서부지회 45

IV. 맨발동무도서관의 커뮤니티 거점 역할 46

1. 맨발동무도서관의 건립배경 46

2. 맨발동무도서관의 사회적 교류 지원 활동 51

1) 물리적 공간 51

2) 시민활동 56

3) 주민교류 59

4) 주민참여 64

5) 소외계층 지원 68

3. 맨발동무도서관의 문학·교육 활동 69

1) 문화 69

2) 교육 72

4. 맨발동무도서관의 정보제공 활동 75

1) 지역 역사 75

2) 지역사회 요구 80

3) 지역사회 서비스 82

V. 공공도서관의 커뮤니티 거점 역할의 가능성 86

1. 맨발동무도서관의 커뮤니티 거점 역할 요약 86

2. 공공도서관의 커뮤니티 거점 역할 강화 방안 88

1) 물리적 공간 88

2) 시민활동 89

3) 주민교류 90

4) 주민참여 91

5) 소외계층 91

6) 문화 92

7) 교육 93

8) 지역 역사 93

9) 지역사회 요구 94

10) 지역사회 서비스 94

VI. 결론 96

1. 요약 96

2. 제언 96

참고문헌 98

Abstract 104

〈표 1〉 맨발동무도서관 참여관찰 일정 및 내용 11

〈표 2〉 인터뷰 참여자 명단 13

〈표 3〉 선행연구 주제별 분류 14

〈표 4〉 커뮤니티의 정의 19

〈표 5〉 커뮤니티 거점의 5가지 역할(Community Alliance) 20

〈표 6〉 커뮤니티 거점 역할에 대한 국내외 개념 정의 21

〈표 7〉 IFLA/UNESCO의 공공도서관 서비스개발을 위한 가이드라인(2010) 23

〈표 8〉 시민사회를 지탱하는 행정정보의 창구로서 도서관의 역할... 25

〈표 9〉 도서관의 커뮤니티 거점 역할에 대한 국내외 개념 정의 26

〈표 10〉 공공도서관의 커뮤니티 거점 역할: 물리적 공간 27

〈표 11〉 공공도서관의 커뮤니티 거점 역할: 시민활동 28

〈표 12〉 공공도서관의 커뮤니티 거점 역할: 주민교류 28

〈표 13〉 공공도서관의 커뮤니티 거점 역할: 주민참여 29

〈표 14〉 공공도서관의 커뮤니티 거점 역할: 소외계층 지원 30

〈표 15〉 공공도서관의 커뮤니티 거점 역할: 문화 30

〈표 16〉 공공도서관의 커뮤니티 거점 역할: 교육 31

〈표 17〉 공공도서관의 커뮤니티 거점 역할: 지역 역사 31

〈표 18〉 공공도서관의 커뮤니티 거점역할: 지역사회 요구 32

〈표 19〉 공공도서관의 커뮤니티 거점역할: 지역사회 서비스 32

〈표 20〉 공공도서관의 커뮤니티 거점 역할 분석틀 33

〈표 21〉 반구조화 면담지 34

〈표 22〉 면담 내용 범주화 예시 34

〈표 23〉 화명동 동별 인구수와 65세 인구 비율 (2014. 12. 31 기준) 37

〈표 24〉 대천천네트워크 출범 관련 주요 활동 흐름 39

〈표 25〉 북구공동육아협동조합 결성 관련 주요 활동 흐름 41

〈표 26〉 화명2동의 주요 지역 커뮤니티 42

〈표 27〉 화명2동의 지역 축제 43

〈표 28〉 맨발동무도서관 현황 47

〈표 29〉 맨발동무도서관 연혁(2005-2016) 49

〈표 30〉 맨발동무도서관의 비전과 미션 51

〈표 31〉 대천천환경문화센터 층별 입주단 52

〈표 32〉 맨발동무도서관 작은 전시회 목록(2015-2016.3) 57

〈표 33〉 맨발동무도서관 시민사회 연속간행물 목록(2016. 2월 기준) 58

〈표 34〉 맨발동무도서관 동아리 61

〈표 35〉 맨발동무도서관 지역단체 협력 행사(2015-2016.3) 67

〈표 36〉 맨발동무도서관 문화 프로그램(2016년 기준) 71

〈표 37〉 평생교육의 유형별 내용 및 특성 73

〈표 38〉 맨발동무도서관 교육 프로그램(2016년 기준) 74

〈표 39〉 맨발동무도서관이 엮은 도서 목록 77

〈표 40〉 대천마을 사진아카이브 구축 기획서 78

〈표 41〉 대천마을 사진아카이브 최종 분류 틀 80

〈표 42〉 맨발동무도서관의 지역사회 연속간행물 목록 84

〈표 43〉 맨발동무도서관 주최 외부단체 지원 사업(2015년) 85

〈표 44〉 연구 분석 요약 86

〈그림 1〉 연구의 분석틀 도출단계 27

〈그림 2〉 맨발동무도서관 내부 구조 모형도 53

〈그림 3〉 맨발동무도서관의 다양한 열람실 형태 54

〈그림 4〉 맨발동무도서관의 사회·문화 시설 55

〈그림 5〉 맨발동무도서관 작은전시회 56

〈그림 6〉 맨발동무도서관 대천마을 사진아카이브 구술기록 장면 79

초록보기 더보기

This research aimed to examine how public libraries reflect its local conditions and play a crucial role in building local society with communication. The main object of case study is the Manbaldongmu library in Hwamyeong 2-dong. one of active movement communities in Busan. the second largest city in South Korea.

In the beginning of the 20th century the Hwamyeong 2-dong had been rural area which its villagers had close links between each other. Since then even though there were frictions between new settlers by urban development and the natives. currently community activities such as local festivals and organization help overcome the difficulties of village.

There is a growing body of literature that public libraries act as the public sphere bonding relationships between the locals and bridging their communication.

The author uses interview data from the director and librarians: community activists: users respectively using semi-structured interview guidelines. as well as literature analysis and participatory observation.

This study looks at the role of public library with a three-dimensional perspective: social communication: culture: education: information. Each consists of ten-questions' analysis framework.

First, the public library can for user personal growth. extend the growing community. Second, the public library can reduced psychological barriers through the space and program improvement to facilitate exchanges between users.

Third, the public library can expand the scope and capabilities of the library by build local community. Fourth, the public library is open to all users, can lead to the user's spontaneous activity.

Fifth, the future public library may need to spend carefully identify the needs of the community and actively take a role in contributing to the communities restored.

권호기사보기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