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자료 카테고리

전체 1
도서자료 0
학위논문 1
연속간행물·학술기사 0
멀티미디어 0
동영상 0
국회자료 0
특화자료 0

도서 앰블럼

전체 (0)
일반도서 (0)
E-BOOK (0)
고서 (0)
세미나자료 (0)
웹자료 (0)
전체 (1)
학위논문 (1)
전체 (0)
국내기사 (0)
국외기사 (0)
학술지·잡지 (0)
신문 (0)
전자저널 (0)
전체 (0)
오디오자료 (0)
전자매체 (0)
마이크로폼자료 (0)
지도/기타자료 (0)
전체 (0)
동영상자료 (0)
전체 (0)
외국법률번역DB (0)
국회회의록 (0)
국회의안정보 (0)
전체 (0)
표·그림DB (0)
지식공유 (0)

도서 앰블럼

전체 1
국내공공정책정보
국외공공정책정보
국회자료
전체 ()
정부기관 ()
지방자치단체 ()
공공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정부기관 ()
의회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국회의원정책자료 ()
입법기관자료 ()

검색결과

검색결과 (전체 1건)

검색결과제한

열기
논문명/저자명
기형도 詩 연구 : 공간유형과 대응양상을 중심으로 = A study on Gi Hyeongdo's poem : focusing on space types and response aspects / 김인숙 인기도
발행사항
익산 : 원광대학교 대학원, 2022.2
청구기호
TM 808 -22-12
형태사항
vii, 77 p. ; 26 cm
자료실
전자자료
제어번호
KDMT12022000028349
주기사항
학위논문(석사) -- 원광대학교 대학원, 문예창작학과, 2022.2. 지도교수: 강연호
원문
미리보기

목차보기더보기

표제지

목차

국문초록 6

ABSTRACT 9

I. 서론 12

1. 연구의 목적 12

2. 선행연구 검토 14

3. 연구방법과 범위 22

II. 詩적 공간의 구현 양상 26

1. 고립과 상실의 공간 26

1) 외적 공간 28

2) 내적 공간 37

2. 방황과 부유(浮遊)의 공간 45

1) 외적 공간 45

2) 내적 공간 54

III. 詩的 공간과 세계 인식 62

1. 가족과 세계 62

2. 타자화된 자아 73

IV. 결론 82

참고문헌 86

초록보기 더보기

본 연구는 기형도의 시에 나타나는 공간의 유형과 그에 따른 대응 양상을 파악하여 기형도의 시 세계를 설명하고자 했다. 특히 시적 공간에서 시인이 인식하는 이미지들이 나타내는 상징적 의미를 해석하고 연구함으로써 시인의 상상력과 의식세계와의 상관관계를 파악하는 데 주력하였다. 따라서 이 연구는 기형도의 시에 나타난 시적 공간이 어떤 양상으로 구현되었으며 또한, 그 공간을 통해 발현하는 기형도의 세계 인식을 파악하는 데 목적이 있다.

기형도는 시적 공간에 의도적으로 부정적 공간을 제시하지 않았지만 실제로 경험에 의한 공간의 특성을 극대화하여 주제 의식을 드러냄으로써 시인의 정신세계를 지배하고 있는 세계관과 인식을 극명하게 표현한다. 기형도 시인은 현실 세계를 비판적으로 바라보고 자기 생각을 시적 공간에 투영하는 방식으로 작품을 쓴다. 시적 공간이 어떤 사건과 결부된 장소로 국한되는 것이 아니라, 자신의 철학과 시적 자아가 존립하는 세계로서 존재하는 것이다. 따라서 기형도 시에 나타나는 시적 공간은 유년기의 기형도와 청년기의 기형도, 그리고 그의 세계관이 존재하는 곳이다.

기형도의 유년 공간은 부성과 모성의 부재로 고립되고 결핍된 공간으로 나타나고 이러한 고립과 결핍은 기형도의 의식에 부정적이고 비관적인 세계관을 인식하게 하는 큰 요인으로 작용한다. 유년기의 가난과 고립의 불안정한 정서는 누이와 삼촌의 죽음으로 인한 가족 상실로 이어져 그의 우울과 비관적 세계관은 더욱 침윤된다. 그것을 바탕으로 축조된 기형도의 작품들은 시대적 상황에서의 불의와 억압에 정면으로 나서서 저항하지 못하는 자책감과 함께, 사랑하는 사람을 잃은 상실감에 젖어 고뇌하며 방황하는 시적 자아를 자주 보여준다.

본 연구에서는 우선 시인이 부정적이고 비관적인 세계관을 갖게 된 공간 이미지를 유형별로 분류하여, 고립과 상실의 공간, 방황과 부유의 공간, 이렇게 크게 두 가지로 나누고 각 유형에 해당하는 다양한 시적 공간을 살피고 있다. 이 두 가지의 공간은 다시 표면적으로 드러나는 외적 공간과 화자의 의식 속에 내재되어 있는 내적 공간으로 구분되며 이들 공간은 시인의 부정적 자아형성의 근원이 된 주된 공간의 이미지들로 구현된다. 본 연구에서는 각각의 공간 이미지에 부합하는 작품들을 분석하여 해당 유형의 공간 이미지와 시적 상상력의 상관관계를 살피고 있다. 또한, 예시한 작품 외에도 고립과 상실, 방황과 부유의 이미지가 나타나는 작품의 시행들을 조사해봄으로써 시인의 고립과 상실, 방황과 부유의 이미지가 어떤 공간에서 어떻게 구현되는지도 논의하고 있다. 그 결과 외적 공간은 집(방), 거리, 건물, 벌판 등이 주류를 이루었고 내적 공간으로 분류한 화자의 의식세계에서 고립과 상실, 방황과 부유의 양상이 구현된다.

다음으로 본 연구에서는 기형도의 작품에 등장하는 가족들이 어떤 유형의 공간에서 기형도의 성장과 세계 인식 형성에 영향을 주었는지 살펴봄으로써 부모를 비롯한 누이, 삼촌 등 가족과 관련된 공간 이미지들에 대해 논의하고 있다. 경제적 능력이 없는 병약한 아버지는 어머니를 생계 일선으로 뛰어들게 했고 그로 인해 화자와 누이들은 가난과 외로움의 공간에서 서로 의지하며 성장한다. 그 와중에 누이와 삼촌의 죽음은 시인을 더욱 절망의 늪으로 빠지게 하고 그렇게 형성된 자아는 성인이 되어서도 세계와 합일하지 못하고 방황하게 된다. 기형도의 가족과 세계 인식 과정에서 나타나는 공간들 역시 대부분 결핍과 상실의 부정적 색채의 공간으로 나타난다. 본 연구에서는 화자로 등장하는 시적 자아가 어떤 유형의 공간에서 타자화되어 시인의 의식을 시적으로 형상화하였는지에 대해서도 논의하고 있다. 기형도는 여러 작품에서 타자화된 화자를 내세워 단절된 공간, 죽음의 공간, 방향성 없는 공간에서 고뇌하고 절망하며 끊임없이 방황하는 자아를 형상화한다.

지금까지 살펴본 것처럼 기형도의 시 세계에서 시적 공간은 주요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짧은 문단 경력과 한 권의 시집이라는 점을 고려하면 매우 다양한 시적 공간을 활용하였으며 그 공간은 시인의 시 창작에 매우 큰 영향을 끼친다. 기형도 작품에 나타난 시적 공간은 그 공간 자체로 시의 주제와 흐름에 직결되는 상징이며 시적 기법에 주요한 특징이 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권호기사보기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