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자료 카테고리

전체 1
도서자료 0
학위논문 0
연속간행물·학술기사 1
멀티미디어 0
동영상 0
국회자료 0
특화자료 0

도서 앰블럼

전체 (0)
일반도서 (0)
E-BOOK (0)
고서 (0)
세미나자료 (0)
웹자료 (0)
전체 (0)
학위논문 (0)
전체 (1)
국내기사 (1)
국외기사 (0)
학술지·잡지 (0)
신문 (0)
전자저널 (0)
전체 (0)
오디오자료 (0)
전자매체 (0)
마이크로폼자료 (0)
지도/기타자료 (0)
전체 (0)
동영상자료 (0)
전체 (0)
외국법률번역DB (0)
국회회의록 (0)
국회의안정보 (0)
전체 (0)
표·그림DB (0)
지식공유 (0)

도서 앰블럼

전체 1
국내공공정책정보
국외공공정책정보
국회자료
전체 ()
정부기관 ()
지방자치단체 ()
공공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정부기관 ()
의회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국회의원정책자료 ()
입법기관자료 ()

검색결과

검색결과 (전체 1건)

검색결과제한

열기
기사명/저자명
북한영화의 탄생과 주인규 / 한상언 인기도
발행사항
서울 : 한국영화학회, 2008.08.25
수록지명
영화연구= Film studies. 제37호 (2008. 8), pp.383-410
자료실
[서울관] 정기간행물실(524호)  도서위치안내(서울관)
외부기관 원문
외부기관 원문
제어번호
KINX2008148574
원문

초록보기 더보기

This thesis is a study about Joo in-gyu who is known as the founder of North Korean film.

After the liberation, the Soviet Army occupied the North of Korean peninsula till the 38th parallel and it changed it fast into a socialist state under the control of the Soviet Union. After this fast change from a colony into a socialist state, the most important thing to be considered is how Koreans who were used to be a Japanese colony, were reborn in a socialist country. Such kind of country reconstruction needed an impressive propaganda, and the best way to instigate people was to make movies. Thanks to the intensive support of the Soviet Union and the North Korean regime, the North Korean film grew up rapidly. In 1946, the North Korea's first film came out, it was a documentary Our construction. By the end of the year, the film making, distribution, and screening were all under the government control. In 1947, the North Korea's first talkie film was made. In the following years in Asia, the North Korean national film studio started to be built. In 1949, the first dramatic film My hometown was made, in 1950 the first color film May first in 1950 was made. Before the 1950-1953 Korean War, the North Korean film started to be active.

Joo in-gyu played a prominent part in the North Korean film's success. He has been an actor as well. Immediately after the liberation, he was in charge of the construction of the North Korean film as the head of South Hamgyong prosecution. Also, during the Korean War, as North Korea film's chief, Joo was in charge of the North Korean literary art union's central committee, the chairman of the North Korean film union, the president of the North Korean national film studio, the chairman of the North Korean theater committee. He put under government control all rights about film making, distribution, and screening until he kept his position. However during the Korean War, He has been purged. We couldn't find about him any documentary records after the war. More, in the process of setting up the North Korean film's system, Na woon-gyu, who worked in the opposite side of Joo in-gyu during Japanese colonial period, has been generally appraised. So Joo in-gyu's activities in Japanese colonial period did not receive any attentions.

권호기사보기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전 지구화의 대중문화, 한류 담론과 한국영화산업의 동아시아 진출 김미현 pp.9-35 원문보기 (음성지원, 국회도서관 방문 후 이용 가능 )
디지털 시대의 문화적 실천과 영화 : 영화 <M>을 중심으로 김병철 pp.37-60 원문보기 (음성지원, 국회도서관 방문 후 이용 가능 )
영화제작에서 가상 세트와 디지털 스튜디오의 기술 변화 연구 김정환 pp.61-84 원문보기 (음성지원, 국회도서관 방문 후 이용 가능 )
아방가르드 영화의 미학과 유희적 모더니즘 : 양해훈 감독론 문관규 pp.85-112 원문보기 (음성지원, 국회도서관 방문 후 이용 가능 )
한국 영화비평의 정치적 무의식에 대한 연구 : 1950년대 후반에서 70년대까지 문재철 pp.113-141 원문보기 (음성지원, 국회도서관 방문 후 이용 가능 )
인도 마살라 영화의 특징 분석 : <춤추는 무뚜 Muthu>를 중심으로 민병록 pp.143-173 원문보기 (음성지원, 국회도서관 방문 후 이용 가능 )
사이버소설 각색영화의 스토리텔링과 문화콘텐츠 : 2000년대 전반기 사이버소설 각색영화의 스토리텔링과 N세대 욕구를 통해 살펴본 문화콘텐츠 활용의 한 경향 연구 서곡숙 pp.175-199 원문보기 (음성지원, 국회도서관 방문 후 이용 가능 )
한국영화 산업 클러스터 정책 연구 송낙원 pp.201-226 원문보기 (음성지원, 국회도서관 방문 후 이용 가능 ) 보기
우리영화 심의제도에 대한 논의 양영철 pp.227-249 원문보기 (음성지원, 국회도서관 방문 후 이용 가능 )
<8과 2분의 1>과 <바톤핑크>의 3막 구조 연구 윤보협 pp.251-271 원문보기 (음성지원, 국회도서관 방문 후 이용 가능 )
<고려장>과 <나라야마 부시코>(1958, 1982)에 나타난 공동체 및 효(孝)에 대한 비교 분석 이효인 pp.273-299 원문보기 (음성지원, 국회도서관 방문 후 이용 가능 )
<맥베스>의 마녀 장면 : 웰즈와 폴란스키의 대조적 각색 임왕태 pp.301-324 원문보기 (음성지원, 국회도서관 방문 후 이용 가능 )
<뮈리엘 혹은 회귀의 시간>에 나타난 기억의 연구 장민용 pp.325-349 원문보기 (음성지원, 국회도서관 방문 후 이용 가능 )
매체 다원화 시대 다큐멘터리 장르의 경계에 관한 연구 전평국 pp.351-382 원문보기 (음성지원, 국회도서관 방문 후 이용 가능 )
북한영화의 탄생과 주인규 한상언 pp.383-410 원문보기 (음성지원, 국회도서관 방문 후 이용 가능 )
1910년대 전반기 식민지 조선에서의 활동사진에 관한 연구 : 1910~1914년 <每日申報>를 중심으로 함충범 pp.411-434 원문보기 (음성지원, 국회도서관 방문 후 이용 가능 )

참고문헌 (40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더보기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한국연극이면사, 국립문화재연구소․도서출판 피아, 2006. 미소장
2 국사편찬위원회,『북한관계 사료집 5』,국사편찬위원회 . 미소장
3 『나는 조선로동당원이요!』,선인,2001. 미소장
4 『소군정하의 북한-하나의 증언』, 중앙문화사, 1952. 미소장
5 한국인물연극사1, 태학사, 2006. 미소장
6 『우리 청춘의 조선』,사계절,1988. 미소장
7 (2005),『아무르 만에서 부르는 백조의 노래』, 지식산업사 미소장
8 『러시아-소비에트 영화사 1』,하제, 1998. 미소장
9 조선문학예술총동맹,『라운규와 그의 예술』,1962. 미소장
10 조선중앙통신사,『1956년도 조선중앙년감』, 조선중앙통신사,116쪽. 미소장
11 북조선탄생, 서울: 서해문집, 2006. 미소장
12 한국예술연구소 엮음,『이영일의 한국영화사를 위한 증언록-성동호/이규환/최금동』, 도서출판 소도, 2003. 미소장
13 한국예술연구소 편, 이영일이 한국영화사를 위한 증언록, 윤봉춘 편, 2004 미소장
14 「北朝鮮에서 본 蘇聯映氣』,《신천지》, 1946년 4월호 미소장
15 「[단평] 《승냥이》에 대해』,《문학신문》,1957년 1 월 24일 미소장
16 「해방후 영화 예술의 발전」, 빛나는 우리예술, 평양 : 조선예술사, 1960. 미소장
17 「朝鮮 男女映劃非優 人物評』, 《三千里》,1941 년 6월호 230쪽. 미소장
18 「共和國 北半部에 있어서의 劇場 映嘉 事業에 對하여」,《映書藝術》,1949 년 3 월호 미소장
19 「위대한 수령님께서 개척하신 주체영화예술』,《조선영화》,1997년 4월호 미소장
20 「라운규 서거 20주년 맞으며」,《문학신문》, 1957년 7월 25일. 미소장
21 朝鮮映畵人 언파레드 소장
22 「北朝鮮民主文學建ᄈ 의 發展過程과 展望」,《朝鮮文學》창간호(1947.9.15), 문화전선사. 미소장
23 「今年度 上半期에 있어서의 映盡製作業의 諸成果』, 《映畵藝術》1949년 3월호 조선영화예술사. 미소장
24 「北朝鮮에 있어서의 朝鮮映畵의 使命과 展望’』, 《文化戰線》4집(1947.4), 북조선문학예술총동맹. 미소장
25 「지난 ᅳ년간의 국립영화촬영소 사업을 회고하며』,《文學藝術》(1950.1.15), 문화전선사. 미소장
26 Ju, In-Kuy and the Film movement of the Red Union(1927~1932) 소장
27 「해방기 영화인 조직 연구j,한양대 석사학위논문, 2007. 미소장
28 「라운규의 형상- 《아리랑》의 작자에 대하여』, 《문학신문》, 1957년 8월 1일. 미소장
29 「민촌과 나 」, 《조선문학》,1955년 3호 미소장
30 「라운규 서거 20주년 기념 준비」,《문학신문》,1957년 7월 11 일. 미소장
31 「문학예술분야에 잔존하는 부르죠아 사상의 여독을 철저히 청산하자」, 《로동신문》,1956년 2월 15 일. 미소장
32 「“北朝鮮 映書普及에 寄與’’ 쏘련映書 필림輸入 責任者 크바쵸브氏 談」,《강원로동신문》, 1947년 10 월 17 일. 미소장
33 「[좌담회] 영광의 나날을 더듬어」, 《조선영화》,1991 년 4월호 미소장
34 「중국을 방문하였던 조선 배우들 귀국」, 《로동신문》,1956년 5월 7일. 미소장
35 《로동신문》, 1946년 10월 18일,1956년 3월 19일,21 일. 미소장
36 《문학신문》,1957년 8월 1 일. 미소장
37 《문학예술》, 1951 년 5월호 미소장
38 《조선인민보》,1946년 4월 15일. 미소장
39 《조선일보》, 1928년 10월 12일,1929년 4월 6일. 미소장
40 《중앙신문》,1946년 1 월 18 일. 미소장

권호기사보기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