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자료 카테고리

전체 1
도서자료 0
학위논문 0
연속간행물·학술기사 1
멀티미디어 0
동영상 0
국회자료 0
특화자료 0

도서 앰블럼

전체 (0)
일반도서 (0)
E-BOOK (0)
고서 (0)
세미나자료 (0)
웹자료 (0)
전체 (0)
학위논문 (0)
전체 (1)
국내기사 (1)
국외기사 (0)
학술지·잡지 (0)
신문 (0)
전자저널 (0)
전체 (0)
오디오자료 (0)
전자매체 (0)
마이크로폼자료 (0)
지도/기타자료 (0)
전체 (0)
동영상자료 (0)
전체 (0)
외국법률번역DB (0)
국회회의록 (0)
국회의안정보 (0)
전체 (0)
표·그림DB (0)
지식공유 (0)

도서 앰블럼

전체 1
국내공공정책정보
국외공공정책정보
국회자료
전체 ()
정부기관 ()
지방자치단체 ()
공공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정부기관 ()
의회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국회의원정책자료 ()
입법기관자료 ()

검색결과

검색결과 (전체 1건)

검색결과제한

열기
기사명/저자명
한국의 아프리카 외교 패러다임의 변환 / 유호근, 설규상 인기도
발행사항
서울 : 경희대학교 인류사회재건연구원, 2015.11.30
수록지명
Oughtopia. vol. 30 no. 2 (Nov 2015), pp.217-245
자료실
[서울관] 정기간행물실(524호)  도서위치안내(서울관)
외부기관 원문
외부기관 원문
제어번호
KINX2015259202
주기사항
대등표제: Paradigm Change of Korea's Foreign Policy towards Africa
한국연구재단에서 제공한 KCI 등재학술(후보)지임

초록보기 더보기

아프리카 지역은 오랫동안 세계체제의 주변부에 머물면서 저평가되어 왔다. 그러나 21세기 진입 이후 정치·경제적 역동성을 바탕으로 이 지역이 새로운 관심의 대상으로 부상하고 있다. 특히, 풍부한 부존자원과 함께 이 지역의 성장 잠재력이 제고됨에 따라 중국, 일본 등 이웃 국가들은 일찌감치 아프리카의 가치에 주목하고 정상교류, 개발원조, 협력포럼 등 소프트파워 자산을 활용하여 이 지역 국가들과의 관계 강화에 주력해 왔다. 그런데 한국의 아프리카에 대한 관심과 정책적 고려는 상대적으로 낮은 수준에 머물러 왔다. 이런 점에서 아프리카가 한국에게 부여하는 의미를 찾아보는 작업은 중요할 뿐만 아니라 필요하다고 할 것이다. 한국과 아프리카 국가들과의 관계 수준은 어떠하고, 그 관계 및 방향성은 어떠해야 하는가? 본 연구는 이러한 기본적인 문제의식으로부터 출발하여 한국 외교의 내포와 외연이라는 관점에서 대 아프리카 외교 현황을 검토하고, 이로부터 향후 외교 패러다임의 방향성 및 과제를 논한다. 특히 이 질문을 다루는데 있어 본 연구는 소프트파워의 논리적 설명이 제시하고 있는 공감과 매력을 통한 목표 성취가 체화된 한국적 ODA를 중심으로 한 정책적 함의를 탐색하고자 한다.

African region has been undervalued for a long time while it remained as the periphery in world system. But This region is emerging as a new object of attention with its political and economic dynamism after entering the 21st century. Especially, as the growth potential of this region has been raised with its affluent natural resources, the neighboring countries such as China and Japan have early strived for consolidating their relations with countries in this region with assets of soft power such as leaders exchanges, development aids and cooperation forums while noticing the worthiness of the region On the contrary, the concern and policy-related considerations for Africa in Korea has remained at a lower level. In this regard, the work to find the implication Africa provide to Korea is not only meaningful but also necessary.

How is the degree of relationship between Korea and African countries? And how should their relationship and direction be? Starting from the basic recognition like this, this paper examines the development of diplomacy towards Africa from the point of the implication and connotation of Korean foreign policy in advance. And the paper goes on to argue the future direction of diplomatic paradigm and the challenges to it. Especially while addressing those questions, this paper tries to explore the policy implications revolving around the Korean ODA where achieving the goal through empathy and attraction is embodied which the logical explanation about soft power presents.

참고문헌 (33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더보기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국립외교원 외교안보연구소. 2014. 2015 국제정세전망. 서울: 국립외교원외교안보연구소. 미소장
2 국무조정실 개발협력정책관실. “한국의 ODA 지원현황-지원실적.” http://www.odakorea.go.kr/ODAPage_2012/T02/L03_S01_03.jsp... 미소장
3 The Place of Africa and the Middle East in the Diplomatic History of the Republic of Korea: Perceptions behind Diplomatic Organizational Changes 소장
4 가나는 과연 원조의 성공 사례인가? 소장
5 Rich Africa, Blue Africa' 경제·통상협력을 통한 아프리카 진출 확대 방안 네이버 미소장
6 2006. 지구촌 정치학. 서울: 법문사. 미소장
7 외교부. “공공외교.” http://www.mofa.go.kr/trade/cultural/public/index.jsp?mofat=001&menu=m_30_170_100 (검색일: 2015년 8월... 미소장
8 외교부. “한-아프리카포럼.” http://www.mofa.go.kr/trade/areaissue/africa/forum/index.jsp?men (검색일: 2015년 8월 3일). 미소장
9 외교부. 2013. “윤병세 외교부 장관, 박근혜 정부의 아프리카 중시 정책과 대아프리카 외교 기조 설명.” 외교부 보도자료(9월 13일). 미소장
10 외교통상부. 2009a. 2009 외교백서. 미소장
11 외교통상부. 2009b. 한국외교 60년. 미소장
12 외무부 직제 1980/01/23. 미소장
13 외무부 직제중 개정령(안)(제9회) 1979/02/06. 미소장
14 외무부와 그 소속기관 직제 1994/04/21. 미소장
15 외무부와 그 소속기관 직제 1995/12/13. 미소장
16 2012. 지역통합의 국제정치경제. 파주: 인간사랑. 미소장
17 2015. 국제관계학-인간과 세계 그리고 정치. 서울: 박영사. 미소장
18 Diplomatic strategy and tasks of Maghreb through Korean policy toward Africa 소장
19 한국의 대 아프리카 외교 : 아프리카의 재평가와 발전방향 소장
20 조선닷컴. 2007. “가봉공화국 봉고 대통령 “승합차 ‘봉고’ 내 이름 따와,”.”... 미소장
21 2010. “한국의 대아프리카 외교의 성공 조건.” 정세와 정책 166호. pp.8-11. 미소장
22 2013. “외교에서 신뢰.” 공동학술회의·통일포럼 남북한과 주변의 정세변화와 통일문제. 한국동북아학회·전북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전북대... 미소장
23 한국무역협회 K-stat. “세계통계-세계무역.” http://stat.kita.net/stat/world/trade/CtrImpExpList.screen (검색일: 2015년 7월 24일). 미소장
24 2008. “한국의 대아프리카 외교정책: 평가와 제언.” 제19차 세종 국가전략 포럼: 한국의 대 개도국 외교: 평가와 제언. 판교: 세종연구소. 미소장
25 Global political economy: understanding the international economic order 네이버 미소장
26 1999. “The Lonely Superpower.” Foreign Affairs Vol.78, No.2. pp.35-49. 미소장
27 2013. World Politics: Trends and Transformations, 10th edition. St. Martins: New York. 미소장
28 2007. Charm offensive: how China’s soft power is transforming the world. New York: Yale University Press. 미소장
29 2008. 신공공외교: 국제관계와 소프트파워. 파주: 인간사랑. 미소장
30 2004. “Soft Power and American Foreign Policy.” Political Science Quarterly Vol.119, No.2. pp.255-270. 미소장
31 2008. The powers to lead.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미소장
32 1964. Man the state and War: A Theoretical Analysis. New York: Columbia University Press. 미소장
33 WHO. “Global Health Observatory Data.” http://www.who.int/gho/hiv/epidemic_status/cases_all_text/en/ (검색일: 2015년 9월 24일). 미소장

권호기사보기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