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전체메뉴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본 연구는 현재 베트남의 중등 외국어교육 정책에 해당하는 ‘2020 외국어교육전략’과 ‘2025 외국어교육전락’ 내용을 분석하여 그 거시적인 틀 안에서 한국어교육과정이 자리매김하고 있는 바를 정확히 이해하고, 향후 베트남 중등 한국어교육과정에 해결해 나가야 하는 지점과 발전 방향을 모색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베트남에서 보다 내실 있는 한국어교육과정을 운영하여 베트남 학생들의 한국어 능력을 향상시키는 것은 베트남과 한국 사이의 관계가 정치·경제·사회적으로 점차 긴밀해지고 있는 오늘날에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베트남의 중등 외국어교육정책과 한국어교육과정에 대한 국가 결정문 및 시행 지침서, 그리고 한국어교육 실행 방식을 보다 면밀히 분석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현재 베트남의 한국어교육과정은 국가적 인재 양성을 목적으로 하는 베트남의 중등 외국어교육정책의 흐름에 맞춰 설계 및 운영되고 있으며, 현대 사회의 격동적인 흐름을 반영하기 위한 목적에서 개방형 교과로서 운영되고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베트남의 중등 한국어교육과정이 베트남의 외국어 교과로서 안정화되고 발전을 거듭해 나가기 위한 과제와 한국어 종주국으로서 지원할 내용을 선택 교과로 운영되는 상황, 개방형 교육과정으로 설계된 상황, 내용 체계의 충실화가 필요한 네 가지 상황을 고려하여 제안하였다. 이는 궁극적으로 베트남 중등한국어교육과정의 학습자들이 체계적이고 시의적절한 학습 경험을 통해 한국어 능력을 향상하는 데에 도움이 될것이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사회통합의 관점에서 본 김정은 시대 북한 소학교 『사회주의도덕』의 변화와 지속 = A study on the『Socialist Moral』analysis of North Korea's primary school : in terms of change and continuation 오기성 p.623-646

국내 영유아교사 회복탄력성에 관한 연구동향 분석 = Analyzing research trends on resilience of Korean early childhood teachers 한희진, 양정호 p.683-701

초임 체육교사의 교직 생활에 대한 행복 담론 = Discourse of happiness on the teaching life of a newly appointed physical education teacher 박인서 p.509-528

성인학습자의 '시간 없음' 경험의 의미 탐색 = Exploring the meaning of 'no time to study' of adult learners : 방송대생의 사례를 중심으로 정혜령 p.529-551

캐나다의 한국계 이민 가정 자녀의 언어 중개(Language Brokering) 경험 탐구 = A narrative inquiry into language brokering experiences of children from Korean-immigrant families in Canada : focusing on their parent-child relationships : 부모와의 관계성을 중심으로 홍영숙 p.703-725

Past and current status of Korean books in Bulgaria = 불가리아에서의 한국 서적 출판 현황 연구 Kim, So Young, Choi, Gwon-Jin p.835-852

한국어(KSL) 진단평가 분석과 평가 체계 연구 = The study on the KSL diagnosis test analysis and KSL evaluation system 홍종명 p.727-744

A literature review on the effects of early educational experiences on child development= 미국의 학령기 전 교육 경험과 효과에 관한 문헌 연구를 통해 본 쟁점 및 시사점 : issues and challenges Insook Huh, Youn Ah Jung p.793-811

우리나라 다문화학교에 대한 제도적 분석 = Institutional analysis for multi-cultural schools in Korea : multicultural pre-school(Korean language classes), special classes, and alternative schools : 다문화 예비학교(한국어학급) 및 특별학급, 다문화대안학교를 중심으로 조인제 p.771-792

초등학교 생존수영교육을 바라보는 수영지도자들의 인식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perception of swimming instructors looking on survival swimming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 김보현, 정용철, 이의재 p.465-483

직업계 고등학교 학생들의 진로장벽 인식 수준에 따른 진로탄력성과 진로준비행동 차이 = Differences in career resilience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based on vocational high school students' perceptions of career barrier levels 김다인, 안도희 p.577-601

초등학교 2학년 아동의 읽기 특성 = Second graders' performance in reading : based on syllable letter strings and syntactic words : 글자와 어절 읽기를 중심으로 정종성 p.663-681

예술꽃 씨앗학교의 성과와 개선방안에 대한 연구 = Study on the achievement and improvement plan of art-flower seed school : focusing on the perception of participating teachers : 참여 교사들의 인식을 중심으로 이경진, 최나영, 강주희 p.439-463

근거이론에 의한 초등학교 교사의 소진과 회복 경험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burnout and recovery experience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based on grounded theory 오연희, 손현동, 오익수 p.553-576

International students' views of English-only classes by Korean English-speaking instructors at university in Korea = 한국 대학의 한국인 영어 교수자들에 영어강의 대한 유학생들의 인식 Yvette Denise Murdoch p.813-834

스포츠윤리 강사 양성 교육에 대한 비판적 성찰 = Critical reflection on the training for sports ethics instructors : focusing on teaching activities of instructors : 강사의 교육활동을 중심으로 김진희, 임다연, 박성주, 김선희 p.603-621

고등 수학 교수법에 거꾸로 학습을 활용한 사례 연구 = A study on the application of flipped learning to calculus class 남혜원 p.647-661

성소수자 예비교사의 현장실습 경험 분석 연구 = Examining the practicum experiences of homosexual prospective teachers 신경희 p.485-508

베트남 중등 외국어교육 정책과 한국어교육과정 분석 = Analysis of Korean language curriculum based on Vietnamese secondary foreign language education policy 김지혜, 김호정 p.745-770

참고문헌 (21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민현식(2014). 한국의 대외 한국어교육정책의 현황과 개선 방향. 국어교육연구, 34, 119-179. 미소장
2 양지선(2014). 베트남 한국어교육의 질적 향상을 위한 방향 모색 – 교사 요구와 교육정책 변화에 따른 과제를 중심으로. 한국언어문화학, 11(1), 63-89. 미소장
3 응웬레투·쩐티흐엉(2015). 베트남에서의 한국어교육 현황 및 그 전망 –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정책을 중심으로. 국제한국어교육, 1(2), 117-139. 미소장
4 쩐티투르엉·안경환(2017). 베트남 고교에서의 한국어교육의 시도와 장점 – 호찌민시와 붕따우 소재 고등학교 학생들의 인지 경험을 중심으로. 인문학연구, 53, 471-500. 미소장
5 쩐티흐엉(2018a). 베트남 중·고등학생을 위한 한국어교육: 교육 실습 및 시범 교과서 활용을 중심으로. 베트남 교육훈련부 2020사업단 자료집. 미소장
6 쩐티흐엉(2018b). 2020외국어교육전략 – 베트남 중·고등학생을 위한 한국어교육을 중심으로. 베트남 중등학교 한국어 수업 현황 및 개선방안. 호치민시 한국교육원, 25-41. 미소장
7 Cooper, R. L.(1989). Language Planning and Social Change.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미소장
8 Council of Europe(2016) CEFR illustrative descriptors extended version 2016. 미소장
9 Hornberger, N. H. (2006). Frameworks and Models in Language Policy and Planning, In Th. ricento (Ed), A Introduction to Language Policy: Theory and Method. London: Blackwell. 24-41. 미소장
10 Jolly & Bolitho, R. (1998), A framework for materials writing, (in) B. Tomlinson(Ed), Materials Development n Language Teaching, cambridge University Press. 90-115. 미소장
11 Language education policy and practice in East and Southeast Asia 네이버 미소장
12 McGrath, I. (2002). Materials Evaluation and Design for Language Teaching. Edinburgh: Edinburgh University Press. 미소장
13 Ban Quản lý Đề án Ngoại ngữ 2020 (2008). Đề án Dạy và học Ngoại ngữ trong hệ thống giáo dục quốc dân giai đoạn 2008-2020. Bộ giáo dục và Đào tạo Việt Nam. 미소장
14 Ban Quản lý Đề án Ngoại ngữ 2020 (2016). Tờ Trình Bộ trưởng Phùng Xuân Nhạ về việc: Quyết định phê duyệt Chường trình giáo dục phổ thông môn tiếng Hàn – ngoại ngữ hai theo Đề án “Dạy và học ngoại ngữ trong hệ thống giáo dục quốc dân giai đoạn 2008-2020”. Bộ giáo dục và Đào tạo Việt Nam. 미소장
15 Ban Quản lý Đề án Ngoại ngữ 2020 (2018). Tìm hiểu chương trình môn Tiếng Hàn - Ngoại ngữ 2. Bộ giáo dục và Đào tạo Việt Nam. 미소장
16 Thủ tướng Chính phủ (2008). Quyết định về việc phê duyệt Đề án “Dạy và học ngoại ngữ trong hệ thống giáo dục quốc dân giai đoạn 2008-2020”. Văn phòng Chính phủ Việt Nam. 미소장
17 Thủ tướng Chính phủ (2017). Quyết định Phê duyệt điều chỉnh, bổ sung Đề án dạy và học ngoại ngữ trong hệ thống giáo dục quốc dân giai đoạn 2017-2025. Cổng thông tin điện tử Chính phủ. Văn phòng Chính phủ Việt Nam. 미소장
18 http://dean2020.edu.vn (베트남 교육훈련부의 외국어교육전략 공식 웹사이트) 미소장
19 https://vietnamnet.vn/vn/su-kien/thi-thpt-quoc-gia-2018-tin-moi-nhat-437175.html# 미소장
20 https://vietnamnet.vn/vn/giao-duc/nhieu-hoc-sinh-chon-ngoai-ngu-de-thi-tot-nghiep-163988.html 미소장
21 Tuoi Tre newspaper, 20160628, 13면 “ information on National High Schol Exam 2016”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