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전체메뉴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초록보기

본고는 대학입학제도 개선을 위한 정책 방향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먼저, 현재 대입전형의 자율화 및 다양화의 기초가 된 입학사정관 전형(학생부종합전형과 학생부교과전형)의 국내도입과정과 주요 특징을 분석하였다. 다음으로, 대입제도와 중등교육과정 및 평가와의 상호관련성을 탐색하기 위해 외국의 대입제도 비교 가운데 중등교육과정의 확인하는 대입전형요소를 비교 분석하였다. 중등교육 정상화를 통한 대입전형 자율화 및 다양화 방안을 위한 정책 제언으로 대학의 기능과 역할에 대한 선행 검토의 필요성 제고, 고교 교육과정에 대한 신뢰를 바탕으로 하는 대입제도 개선안 개발, 대입제도 개선과 관련된 이익집단의 범위 고려, 입학사정관전형 요소에 대한 기술적 개선안 및 수학능력시험 해석 방법의 변화, 그리고 신입생 선발에서 우수한 학생에 대한 평가기준 재정립의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시·도 교육과정 편성·운영 지침'의 개선 방향 탐색 =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guidelines for the organization and operation of the city and provincial curriculum’ according to the 2015 revised curriculum : focusing on the need analysis of teachers and supervisors 이승미 p.135-160

진로유연성 집단 분류와 기본심리욕구 및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을 통한 집단 특성 탐색 = Identification of clusters by career flexibility and exploration of the characteristics using basic psychological needs and intolerance of uncertainty 김보영 p.29-46

한국 교육의 변화와 미래의 교육 = Educational changes and future education in Korea : a historical approach : 역사적 접근을 통한 미래 교육의 전망 탐색 신현석, 정용주, 장아름 p.47-86

비대칭문항반응모형의 문항복잡성 타당화 가능성 연구 = A study of item validation on complexity levels underlying test items using asymmetric IRT modeling to PISA 2012 Process Data : PISA 2012 프로세스 데이터의 응답 시간·횟수 변인을 중심으로 이소라 p.113-134

중등교육 정상화를 통한 대입선발전형 자율화-다양화 방안 탐색 = Autonomy and diversity in college admission system with stabilization of secondary education curriculum and evaluation 양성관 p.87-112

2022 대입정책 결정과정의 딜레마 분석 = Analysis on the decision process of the university admission system in 2022 from the policy dilema perspective 조흥순 p.161-185

고교학점제에 대한 국제비교 연구 = An international comparative study of high school credit system 김대영, 우옥희 p.1-27

참고문헌 (16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경희대학교 출판문화원(2013). 21세기 미래대학을 말한다. 미소장
2 김경모 외(2015). 2020년 이후 수능 및 대학입학제도 개혁 방안 연구. 한국대학교육협의회. 미소장
3 김순남 외(2014) 대학입시 정책의 국제 비교 연구: 고교 내신 산출 및 대입반영 방법을 중심으로. 한국교육개발원. 미소장
4 김은영 외(2013). 대학입학전형 정책의 성과의 개선 방안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미소장
5 박성희(2014). 독일교육, 왜 강한가? 서울: 살림터. 미소장
6 안상진(2017). ‘사교육 및 대입제도 부문 교육공약 분석과 대안’ 토론문. 한국교육정치학회 춘계학술대회 자료집, 213-221. 미소장
7 안선회(2017). 사교육 및 대입제도 부문 교육공약 분석과 대안: 2017년 대통령선거 교육공약을 중심으로. 한국교육정치학회 춘계학술대회 자료집, 155-212. 미소장
8 안수진, 안선회(2015). 2015학년도 대입전형간소화정책의 효과성과 타당성 평가. 교육문제연구, 28(4), 223-269. 미소장
9 정영수 외(2007), 해외 대학입학제도 실태조사 연구. 한국대학교육협의회. 미소장
10 정진곤(2004), 미국의 대입제도. 외국의 대입제도. 한국교육개발원. 미소장
11 정진곤(2005). 미국대학선발방법과 한국입시제도에의 시사점. 교육평가연구, 18(2), 149-171. 미소장
12 한승준, 김현, 김응빈, 백광진(2017). 대입용어와 모집요강 편제의 표준화 방안 연구. 미소장
13 Buttz, F.(1988). 김해성(역)(2007). 민주시민의 도덕. 파주: 나남. 미소장
14 IMD World Competitiveness Center(2014). IMD World Talent Report. 미소장
15 Robinson, K.(2009). 승영조(역)(2010). 엘리먼트: 타고난 재능과 열정이 만나는 지점. 서울: 도서출판승산. 미소장
16 Sandel, M.(2009). 이창신(역)(2010). 정의란 무엇인가. 파주: 김영사. 미소장
챗봇 챗봇