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공일주. (2006). 아랍인 한국어 학습자의 문화 교육 실태와 방안. 국제한국어교육학회 학술대회발표논문. |
미소장 |
2 |
공지현. (2001). 효율적인 아랍어 교육을 위한 교수·학습에 관한 연구: 아랍 문화 교육을 중심으로. 미출간 박사학위논문, 한국외국어대학교, 서울. |
미소장 |
3 |
공지현. (2003). 아랍어 교육과 아랍 문화의 이해. 교원교육, 18(1), 158-175. |
미소장 |
4 |
공지현. (2009). 아랍어 희곡 텍스트를 활용한 아랍어와 아랍문화교육: 교육 연극적 방법을 중심으로. 아랍어와 아랍문학, 13(1), 1-29. |
미소장 |
5 |
교육과학기술부. (2011). 개정 제2외국어교과 교육과정, 서울: 교육과학기술부고시 제2011-361호. |
미소장 |
6 |
교육과학기술부. (2013). 개정 교육과정 총론, 서울: 교육과학기술부 고시 제 2013-7호. |
미소장 |
7 |
교육과학기술부. (2015). 개정 교육과정 총론, 서울 : 교육과학기술부 고시 제 2015-74호. |
미소장 |
8 |
교육과학기술부. (2015). 개정 제2외국어교과 교육과정, 서울: 교육과학기술부고시 제2015-74호. |
미소장 |
9 |
김금년. (2017, 9월). 프로젝트학습 모형에 따른 중등교육 아랍어 교수·학습 방법. 한국외국어교육학회 학술대회발표논문. |
미소장 |
10 |
김양희. (2016). 프랑스 언어·문화 통합 교수·학습 방법 연구. Foreign Languages Education, 23(4), 251-268. https://doi.org/10.15334/fle.2016.23.4.251 |
미소장 |
11 |
김양희. (2019). 과제 수행 중심의 프랑스 언어·문화 통합 교육 평가방안 연구. Foreign Languages Education, 26(2), 125-142. https://doi.org/10.15334/fle.2019.26.2.125 |
미소장 |
12 |
김재희. (2014). 시사만화를 활용한 아랍어와 아랍문화 교육방안 연구. 인문과학연구논총, 35(3), 165-192. |
미소장 |
13 |
사희만. (2008). 멀티미디어를 활용한 중등학교에서의 아랍문화 교육(한국연구재단 연구성과물 3660498). 서울: 한국연구재단. |
미소장 |
14 |
이민경. (2014). 거꾸로 교실(Flipped Classroom)의 효과와 의미에 대한 사례연구. 한국교육, 41(1), 87-116. |
미소장 |
15 |
이민경. (2014). 새로운 교실 만들기의 가능성. 교육비평, 33, 201-212. |
미소장 |
16 |
이송. (2015). 창의·인성 교육을 위한 프랑스어 교수·학습 방법. Foreign Languages Education, 22(4), 227-298. https://doi.org/10.15334/fle.2015.22.4.288 |
미소장 |
17 |
조위수, 윤주원. (2019). 아랍어·한국어 학습자의 문화 간 의사소통능력 신장을 위한문화교육 내용 연구. 한국국제문화교류학회, 8(3), 205-229. |
미소장 |
18 |
Bennett, L. (1993). Toward ethnorelativism: A development model of intercultural sensitivity revised. In R. Michael Paige (Ed.), Education for intercultural experience (pp. 21-71). Yarmouth, ME: Intercultural Press. |
미소장 |
19 |
Byram, M. (1989). Cultural Studies in foreign language education. Clevedon, UK.:Multicultural Matters. |
미소장 |
20 |
Byram, M., Gribkova, B., & Starkey, H. (2002). Développer la dimension interculturelle de l’enseignement des langues. Strasbourg, France: Conseil de l’Europe. |
미소장 |
21 |
Kramsch, C. (1991). Culture in language learning: A view from the United States, In K. De Bot, R. B. Ginsberg & C. Kramsch (Eds). Foreign language research in cross-cultural perspective (pp. 217-240). Amsterdam: John Benjamins. |
미소장 |
22 |
Kramsch, C. (1993). Context and culture in language teaching.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
미소장 |
23 |
Moran, P. R. (2001). Teaching culture. Boston: Heinle & Heinle. |
미소장 |
24 |
Seelye, H. N. (1993). Teaching culture: Strategies for intercultural communication. Lincolnwood, IL: National Textbook Company. |
미소장 |
25 |
Stern, H. H. (1983). Fundamental concept of language teaching. London: Oxford University Press. |
미소장 |
26 |
Stern, H. H. (1992). Issues and options in language teaching. London: Oxford University Press. |
미소장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