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자료 카테고리

전체 1
도서자료 0
학위논문 0
연속간행물·학술기사 1
멀티미디어 0
동영상 0
국회자료 0
특화자료 0

도서 앰블럼

전체 (0)
일반도서 (0)
E-BOOK (0)
고서 (0)
세미나자료 (0)
웹자료 (0)
전체 (0)
학위논문 (0)
전체 (1)
국내기사 (1)
국외기사 (0)
학술지·잡지 (0)
신문 (0)
전자저널 (0)
전체 (0)
오디오자료 (0)
전자매체 (0)
마이크로폼자료 (0)
지도/기타자료 (0)
전체 (0)
동영상자료 (0)
전체 (0)
외국법률번역DB (0)
국회회의록 (0)
국회의안정보 (0)
전체 (0)
표·그림DB (0)
지식공유 (0)

도서 앰블럼

전체 1
국내공공정책정보
국외공공정책정보
국회자료
전체 ()
정부기관 ()
지방자치단체 ()
공공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정부기관 ()
의회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국회의원정책자료 ()
입법기관자료 ()

검색결과

검색결과 (전체 1건)

검색결과제한

열기
기사명/저자명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 일명 공수처법의 위헌 여부에 관한 검토 = A study on the constitutionality of the High-ranking Public Officials Corruption Investigation Agency Act / 조재현 인기도
발행사항
서울 : 한국부패학회, 2020.06.30
수록지명
한국부패학회보 = Korean corruption studies review. 제25권 제2호 (2020. 6), p. 85-105
자료실
[서울관] 해당자료 없음
외부기관 원문
외부기관 원문
제어번호
KINX2020150531
주기사항
한국연구재단 제공 KCI 등재(후보)학술지
본문은 한국어, 요약문은 영어, 한국어 수록

초록보기 더보기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가 7월 출범을 앞두고 있다. 공수처는 고위공직자의 부패통제방안으로 논의되었으나, 지금은 오히려 검찰의 개혁에 관점에서 도입필요성이 주장된다. 그 동안 검찰은 수사권과 공소권을 독점한 강력한 권력집단으로서 항상 개혁의 대상이었지만 국민의 신뢰를 얻는데 실패하였다. 그 결과 지속적인 검찰개혁 방안이 논의되었고, 특검제도, 내부적 통제방안, 상설특검 등의 제도시행을 경험하였으나, 방법과 시행상의 한계를 이유로 공수처의 도입으로 이어지게 되었다. 공수처 설치에 반대하는 입장은 공수처의 정치적 중립성의 확보와 직무상의 독립성에 관한 문제를 제기한다. 가장 심각한 문제점으로 공수처장을 대통령이 임명하도록 한다는 점을 지적한다. 이러한 비판은 공수처장의 임명과정에서 국회에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장 후보추천위원회의 구성방식이나 공정한 임명, 추천 및 검증과정을 거칠 수 있다는 점을 고려하면 타당한 비판으로 보기 어렵다. 공수처의 소속도 문제되고 있다. 과거 공수처 소속을 두고 대통령 소속기관으로 설치하는 방안, 법무부나 국가인권위원회에 설치하는 방안, 어느 기관에도 속하지 않는 독립기관으로 설치하는 방안 등이 논의되었으나, 현행 공수처법에 의하면 독립기관으로 설치된다. 독립적 국가기관으로서 공수처가 기능적 독립성을 유지할 수 있다면, 그것의 설치가 헌법적으로 금지되는 것은 아니다. 공수처의 설치를 두고 수사권뿐만 아니라 기소권을 부여할 것인가에 관한 문제는 가장 첨예한 쟁점이었다. 현행법상 공수처는 수사권, 기소권, 이첩권, 영장청구권 등을 가진다. 공수처의 본질적인 기능은 이처럼 검찰에 독점되어 있는 영장청구권과 기소권을 분산하여 수평적인 견제와 균형의 시스템을 확보하고자 하는 것이다. 공수처 검사의 권한과 직무를 정하는 공수처법 역시 목적이 정당한 범위 내에서는 폭넓은 입법재량권이 허용되어, 수사 및 기소권을 인정하는 것은 정당한 입법권의 행사로서 위헌의 문제는 발생하지 않는다. 마찬가지로 공수처에 수사권과 기소권 중 어느 하나의 권한만을 인정하거나 이를 분리해서 인정하는 것은 적절하지 않다. 이제 공수처법은 본래의 목적으로 향해야 한다. 처음에 고위공직자의 부패를 척결함으로써 국민의 권익을 보장한다는 출발점으로 돌아가야 한다. 검찰의 개혁이라는 목적을 달성과 함께 공수처 설치의 진정한 목적은 공직자의 부패척결이다. 그것이 결국 국민의 자유와 권리의 보호에 기여하게 된다.

권호기사보기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부패방지와 헌법상 연좌제 금지 = Prevention of corruption and prohibition of the guilt by association 이승택 p. 145-167
정부 간 재정관계와 부패 = Intergovernmental fiscal relations and corruption : analysis of OECD countries during 1996-2018 : OECD 회원국을 중심으로 김애진 p. 211-233
사회적 부패환경요인에 의한 청소년들의 자살일탈행위와 그 예방에 관한 새로운 패러다임 = A new paradigm on prevention of juvenile suicide and their deviant behaviors caused by social corruption environmental factors : a focus on the public service motivation(PSM) theory and its possible application : 공공봉사동기(PSM)이론과 그 적용가능성을 중심으로 김영종 p. 1-31 원문보기 (음성지원, 국회도서관 방문 후 이용 가능 )
조직문화와 청렴정책 효과성 인식의 관계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organizational culture and awareness of integrity policy effectiveness : focused on the moderating effect of ethical leadership : 윤리적 리더십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권우덕, 이선중 p. 191-210
중국과 인도의 부패방지 수사기구(공수처)에 대한 비교분석 = A comparative analysis of anti-corruption investigative agencies in China and India 민경선 p. 123-144
부패방지를 위한 감사작용의 공법적 검토 = A public law review of audit action for the prevention of corruption 강주영 p. 169-190
원자력의 잠재적 위험 대응에 대한 국가별 비교 = A comparison of response to potential risk of nuclear power plants in major countries : focusing on whistleblowing system : 내부고발제를 중심으로 진상현 p. 235-257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 일명 공수처법의 위헌 여부에 관한 검토 = A study on the constitutionality of the High-ranking Public Officials Corruption Investigation Agency Act 조재현 p. 85-105
검찰개혁의 필요성과 추진방향 = Necessity and direction of prosecution reform 김병수 p. 107-121
사회적 부패 방지와 인권보장을 위한 웨어러블 폴리스캠 활용과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utilization and improvement of wearable police cam for the prevention of social corruption and the protection of human rights 김학신, 조정우 p. 29-50
AI기술의 부패방지와 인권 침해의 논의 = A study on AI technology's anti-corruption and human rights violations : 홍콩 사례(복면금지법)를 중심으로 김형섭, 황선영 p. 5-27

참고문헌 (16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더보기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권기돈, 독립적 공수처 만들기 위해 신중 기해야, 월간 공공정책 제160호, 2019. 2 미소장
2 김병수, 국민을 위한 고위공직자비리수사처 설치방안, 동아법학 제80호, 2018. 8 미소장
3 김성돈, 고위공직자 범죄수사처 신설의 필요성과 위헌성 극복 방안, 성균관법학 제30권 제1호, 2018. 3 미소장
4 김성천,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의 형사사법체계 정합성에 관한 고찰, 중앙법학 제21권 제4호, 2019. 12 미소장
5 김태우, “고위공직자비리수사처 입법론 검토”, 형사법의 신동향, 제54호, 2017. 3 미소장
6 김해원, “독립행정기관에게 입법권을 수권하는 법률에 대한 헌법적합성 심사 로서 권한법적 통제”, 법학연구 제23권 제3호, 2015 미소장
7 명재진, 헌법문제로서의 검찰개혁, 헌법학연구 제17권 제4호, 2011 미소장
8 박용철, 고위공직자비리수사처 도입에 관한 법률안: 쟁점과 전망, 의정연구 제25권 제3호 미소장
9 박준휘, 김영중, 한상훈, 정한중, 최유진, 문준영,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에 관한 연구, 형사정책연구권 연구총서, 2019. 12 미소장
10 서보건,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 설치 및 운영에 관한 법률(공수처)」에 대한 법제도적 과제와 전망, 한국비교공법학회 제98회 학술대회 발표문, 2020. 5 미소장
11 서보학, “각국 영장제도 비교분석에 따른 시사점 및 입법론적 대안”, 「국가형사사법체계 정상화를 위한 헌법적 과제」 토론회 - 영장청구권을 중심으로 -, 강창일 의원/헌법이론실무학회/비교형사 법학회 공동정책토론회(2017. 3. 3.) 미소장
12 성중탁, “「특별검사의 임명 등에 관한 법률」, 「특별감찰관법」에 대한 입법평가”, 입법학연구 제14집 1호, 2017 미소장
13 이윤제, 국민의 공수처 VS 검찰의 수사처, 형사법연구 제29권 제4호, 2017 미소장
14 정웅석,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의 신설에 관한 비판적 고찰, 형사법의 신동향 제57호, 2017. 12 미소장
15 조재현, 공직자부패통제방안으로서 특별검사제와 고위공직자비리수사처의 설치에 관한 제언, 한국부패학회보 제15권 제4호, 2010 미소장
16 하태훈, “고위공직자비리수사처 신설 등 조직․행정 측면의 개선과제”, 검찰권에 대한 통찰 및 정 책적 과제(국회입법조사처), 2017 미소장

권호기사보기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