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자료 카테고리

전체 2,821
도서자료 2,812
학위논문 0
연속간행물·학술기사 0
멀티미디어 9
동영상 0
국회자료 0
특화자료 0

도서 앰블럼

전체 (2,812)
일반도서 (1,622)
E-BOOK (0)
고서 (0)
세미나자료 (2)
웹자료 (1,188)
전체 (0)
학위논문 (0)
전체 (0)
국내기사 (0)
국외기사 (0)
학술지·잡지 (0)
신문 (0)
전자저널 (0)
전체 (9)
오디오자료 (0)
전자매체 (9)
마이크로폼자료 (0)
지도/기타자료 (0)
전체 (0)
동영상자료 (0)
전체 (0)
외국법률번역DB (0)
국회회의록 (0)
국회의안정보 (0)
전체 (0)
표·그림DB (0)
지식공유 (0)
전체 2,821
국내공공정책정보
국외공공정책정보
국회자료

도서 앰블럼

전체 ()
정부기관 ()
지방자치단체 ()
공공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정부기관 ()
의회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국회의원정책자료 ()
입법기관자료 ()

검색결과

검색결과 (전체 2,821건)

검색결과제한

열기
기사명/저자명
고등교육 재정지원 구성과 소득분배 = Does composition of public expenditures on tertiary education aect equity? / 나원희, 이영 인기도
발행사항
서울 : 한국금융연구원, 2021. 8. 30
수록지명
韓國經濟의分析 = Journal of korean economic analysis. 제27권 제2호 (2021년 8월), p. 41-72
자료실
전자자료
외부기관 원문
한국학술지인용색인(NRF)
제어번호
KINX2021215356
주기사항
한국연구재단 제공 KCI 등재(후보)학술지
본문은 한국어, 요약문은 영어, 한국어 수록
원문

초록보기 더보기

OECD 32개국의 1998-2018년 데이터를 이용한 분석 결과, 개인단위 고등교육 재정지원이 이후 소득불평등도의 개선과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관련되어 있음이 관찰되었다. 개인단위 재정지원과는 달리 기관단위 고등교육 재정지원과 소득불평등도 사이에는 유의한 음의 관계가 관찰되지 않았다. 표준편차 크기만큼의 개인단위 고등교육 재정지원 확대는 시장 지니계수 표준편차의 1/5 크기만큼의 소득분배 개선과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본 논문은 개인 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고등교육 공부담 공교육비가 소득 형평성개선에 보다 기관단위 지원보다 효과적임을 실증적으로 보인 최초의 분석 결과이다. 우리나라는 2011년과 2012년에 든든학자금제도와 국가장학금제도을 각각 도입하였는데, 본 논문의 추정결과는 이러한 학자금지원제도 확대가 소득분배에 긍정적인 효과를 가질 수 있음으로 의미한다.

Using the data of thirty-two OECD countries from 1998 through 2018, we find public expenditures on tertiary education directed at individuals, particularly student loans, a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a subsequent decrease in income inequality. On the other hand, a negative association between the public expenditures directed at institutions and income inequality cannot be found. A one standard error increase in public expenditures directed at individuals is associated with approximately one-fifth of one standard error decrease in Gini indices for market income. This paper is the first study to investigate and yield supportive evidence that public expenditures on tertiary education directed at individual students are more effective in enhancing equity than providing the funding directly to institutions.

참고문헌 (27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더보기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강종구ㆍ박창귀ㆍ조윤제, 「국가별 패널자료를 이용한 소득불균등 확대의 원인 분석」, 『경제분석』 제18권 제1호, 한국은행, 2012. 미소장
2 서한석, 「OECD 19개 주요국가의 소득불평등 요인분석」, 『국제지역연구』 제19권 제1호, 2015. 미소장
3 안종범, 「한국경제 발전모형 정립을 위한 쿠즈네츠 가설의 재검측」, 『경제학연구』 제51집 제3호, 한국경제학회, 2003. 미소장
4 황진영, 「개도국에서의 자산분포와 교육비지출」, 『재정논집』 제17권 제2호, 한국재정공공경제학회, 2003. 미소장
5 황진영ㆍ임진우, 「부패, 소득분포 및 정부의 교육비 지출」, 한국재정공공경제학회, 『재정논집』 제19집 제1호, 한국재정공공경제학회, 2004. 미소장
6 황진영, 「소득분포와 고등교육기관에 대한 투자지출-OECD 국가를 중심으로」, 『재정논집』 제20집 제2호, 한국재정공공경제학회 2006. 미소장
7 Abdullah, A., Doucouliagos, H., & Manning, E., “Does education reduce income inequality? A meta regression analysis”, Journal of Economic Surveys, Vol. 29, No. 2, 2015. 미소장
8 Barro, R. J., “Inequality and Growth in a Panel of Countries”, Journal of Economic Growth, Vol. 5 No. 1, 2000. 미소장
9 Barro, R. J. & Lee, J. W., “A new data set of educational attainment in the world, 1950-2010”, Journal of Development Economics, Vol. 104, 2013. 미소장
10 Card, D., “Falling union membership and rising wage inequality: what's the connection?” NBER Working paper, w6520, 1998. 미소장
11 Card, D., Lemieux, T. & Riddell, W. C., Unionization and wage inequality: a comparative study of the US, the UK, and Canada. National Bureau of Economic Research, 2003. 미소장
12 Coady, D. & Dizioli, A., “Income Inequality and Education Revisited: Persistence, Endogeneity, and Heterogeneity”, IMF Working Paper WP/17/126. 2017. 미소장
13 Dabla-Norris, E. & Gradstein, M., “The Distributional Bias of public education: causes and consequences“ IMF Working Paper No. 04/214. 2004 미소장
14 Dabla-Norris, E., Kochhar, K., Suphaphiphat, N., Ricka, F., & Tsounta, E., “Causes and Consequences of Income Inequality: A Global Perspective”, IMF Staff Discussion Note SDN/15/13. 2015. 미소장
15 Easterly, W. & Rebelo, S., “Fiscal Policy and Economic Growth: An Empirical investigation”, Journal of Monetary Economics, Vol. 32 No. 3, 1993. 미소장
16 Glomm, G. & Ravikumar, B.. “Public versus Private Investment in Human Capital: Endogenous Growth and Income Inequality.”, Journal of Political Economy, Vol. 100 No. 4, 1992. 미소장
17 Gregorio, J. D. & Lee, J. W., “Education and income inequality: new evidence from cross.country data”, Review of income and wealth, Vol. 48 No. 3, 2002. 미소장
18 Gruber, L. & Kosack, S., “The Tertiary Tilt: Education and Inequality in the Developing World”, World Development, Vol. 54, 2014. 미소장
19 Gustafsson, B. & Johansson, M., “In Search of Smoking Guns: What Makes Income Inequality Vary over Time in Different Countries?”, American Sociological Review, Vol. 64 No. 4, 1999 미소장
20 Hwang, Jinyoung. “Asset distribution and tertiary education expenditure in developing countries”, Economics of Education Review, Vol. 24 No. 2, 2005. 미소장
21 Jaumotte, F., Lall, S., & Papageorgiou, C., “Rising Income Inequality: Technology, or Trade and Financial Globalization?”, IMF Economic Review, Vol. 61 No. 2, 2013. 미소장
22 Saint-Paul, G. & Verdier, T., “Education, democracy, and growth”, Journal of Development Economics, Vol. 42 No. 2, 1993. 미소장
23 Solt, Frederick. “Measuring income inequality across countries and over time: The standardized world income inequality database”, Social Science Quarterly, Vol. 101 No. 3, 2020. 미소장
24 Sylwester, K., “Income inequality, education expenditures, and growth”, Journal of Development Economics, Vol. 63 No. 2, 2000. 미소장
25 Sylwester, K., “Can education expenditures reduce income inequality?”, Economics of Education Review, Vol. 21 No. 1, 2002. 미소장
26 Zhang, J., “Optimal investments in education and endogenous growth”, The Scandinavian Journal of Economics, Vol. 98 No. 3, 1996. 미소장
27 OECD. Education at a glance: OECD indicators. OECD Publishing, Paris 미소장

권호기사보기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