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회도서관 서비스 이용에 대한 안내를 해드립니다.
검색결과 (전체 1건)
원문 있는 자료 (1)열기
원문아이콘이 없는 자료는 국회도서관에 방문하여 책자로만 이용이 가능합니다.
목차보기더보기
[표지]
제출문
요약문
SUMMARY
목차
제1장 서론 17
제1절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7
제2절 연구방법 18
1. 조사대상 18
2. 영아·모성사망 통계조사 흐름 및 조사체계 18
3. 사인분석팀 구성 19
4. 사인분석 지침 마련 20
5. 선행사인 분석 작업 20
6. 영아사망, 사산자료와 건강검진자료, 동태신고자료와 연계분석 20
제3절 사인판정 지침 및 판정 사례 21
1. 영아 사인판정 21
2. 영아의 사인판정 사례(부록 1 참조) 22
3. 사산의 사인판정 지침 22
4. 사산의 사인판정 사례(부록 2 참조) 23
제2장 이론적 배경 및 선행연구 24
제1절 영아사망의 원인 24
제2절 사산 및 주산기사망의 원인 27
제3절 사산 및 저출생체중의 위험요인 28
1. 출생체중 28
2. 재태기간(임신기간) 29
3. 모연령 29
4. 태수 30
5. 비만 31
6. 헤모글로빈 31
7. 고혈압 31
제3장 영아사망의 사인분석 33
제1절 영아사망 원인 33
1. 사망시기별 10대 영아사망원인 33
2. 성별 영아사망원인 38
3. 성별 선천성기형의 분포 39
4. 주산기 원인에 의한 영아사망 원인 분포 40
5. 출생체중별 영아 사망 원인 41
6. 재태연령별 영아사망 원인 43
7. 출산순위별 영아사망 원인 45
8. 태수별 영아사망 원인 47
9. 분만 방법별 영아사망 원인 48
제4장 주산기사망 사인분석 50
제1절 주산기 사망원인 50
1. 사산분석 50
2. 재태연령별 태아사망 원인 52
3. 1996년과 1999·2000년도 태아사망 원인 비교 54
4. 태아사망 원인의 세부질환 비교 55
5. 성별 태아사망 원인 57
6. 모연령별 태아사망 분포 58
7. 사망원인별 초기신생아 사망분포 59
8. 1996년도와 1999년도 초기신생아 사망원인 비교 61
9. 주산기사망 I 의 사망원인 분포 62
10. 성별 주산기사망 I 의 사망원인 분포 63
11. 사망제표용 분류표 3에 의한 주산기사망 I 의 사인분포 64
12. 모연령별 주산기사망 I 의 사인분포 65
제5장 주산기사망 위험요인 분석 66
제1절 연구자료 및 방법 66
제2절 산모요인별 주산기사망률 67
제3절 산모요인별 주산기사망위험에 대한 로짓회귀분석 결과 72
제6장 저출생체중 위험요인 분석 82
제1절 연구방법 82
제2절 산모요인별 저출생체중아 출생률 83
제3절 산모요인별 저출생체중아 출생위험에 대한 로짓회귀분석 결과 88
제7장 결론 및 정책제언 97
참고문헌 100
부록 106
부록 1. 영아사망 판정 사례 107
부록 2. 사산 판정 사례 117
부록 3. 한국표준질병분류, 사망제표용 분류 125
부록 4. 한국표준질병 사인 분류 128
著者 略歷 133
〈표 2-1〉 일본의 10대 사인별 영아사망분포(1996년) 25
〈표 2-2〉 일본의 10대 사인별 신생아사망 분포(1996년) 26
〈표 2-3〉 일본의 주요 사인별 영아사망수의 추이 26
〈표 2-4〉 일본의 태아측 병태별로 본 모의 질병별 사산분포(1996년) 27
〈표 3-1〉 사망시기별 10대 영아사망원인(1999) 34
〈표 3-2〉 1996·1999년도 10대 영아사망원인 비교 36
〈표 3-3〉 1996·1999년도 10대 신생아 사망원인 비교 37
〈표 3-4〉 성별 10대 영아사망원인(1999) 39
〈표 3-5〉 성별 선천성 기형에 의한 사망영아 분포(1999) 40
〈표 3-6〉 성별 주산기원인에 의한 사망영아 분석(1999) 41
〈표 3-7〉 출생체중별 10대 영아사망원인(1999) 42
〈표 3-8〉 임신주수별 10대 영아사망원인(1999) 44
〈표 3-9〉 출산순위별 10대 영아사망원인(1999) 46
〈표 3-10〉 태수별 10대 영아사망원인(1999) 47
〈표 3-11〉 분만방법별 10대 영아사망원인(1999) 48
〈표 4-1〉 태아사망 분포(1999·2000년) 50
〈표 4-2〉 태아사망률(1999·2000년) 51
〈표 4-3〉 성별 주산기사망 분포(1999년) 51
〈표 4-4〉 주산기사망률(1996·1999년) 52
〈표 4-5〉 태아사망 원인(1999·2000년) 54
〈표 4-6〉 태아사망원인 비교(1996·1999·2000) 55
〈표 4-7〉 태아사망 원인중 주산기에 기원한 특정병태의 세부질환(1999·2000) 55
〈표 4-8〉 태아사망 원인중 선천성기형, 변형 및 염색체이상의 세부질환... 56
〈표 4-9〉 성별 태아사망원인(1999·2000) 57
〈표 4-10〉 1999년도 모연령별 태아사망원인 58
〈표 4-11〉 2000년도 모연령별 태아사망원인 59
〈표 4-12〉 사망원인별 초기신생아(출생후 7일 이내) 사망분포(1999) 60
〈표 4-13〉 사망원인별 초기신생아(1996·1999) 61
〈표 4-14〉 주산기사망 I의 사망원인 분포 63
〈표 4-15〉 성별 주산기사망 I의 사망원인 분포(1999) 63
〈표 4-16〉 사망제표용 분류표 3에 의한 성별 주산기사망 I의 사인분포(1999) 64
〈표 4-17〉 모연령별 주산기사망 I의 사인분포 65
〈표 5-1〉 산모 연령별 주산기사망률(전체 단태아) 68
〈표 5-2〉 산모 연령별 주산기사망률(검진연결 단태아) 69
〈표 5-3〉 산모 신장별 주산기사망률(검진연결 단태아) 69
〈표 5-4〉 산모 체중별 주산기사망률(검진연결 단태아) 70
〈표 5-5〉 산모 체질량지수별 주산기사망률(검진연결 단태아) 71
〈표 5-6〉 산모 혈압수준별 주산기사망률(검진연결 단태아) 71
〈표 5-7〉 산모 혈색소 수준별 주산기사망률(검진연결 단태아) 72
〈표 5-8〉 산모 연령별 주산기사망위험(전체 단태아, 로짓회귀분석) 73
〈표 5-9〉 산모 연령별 주산기사망위험(검진연결 단태아, 로짓회귀분석) 73
〈표 5-10〉 산모 신장별 주산기사망위험(검진연결 단태아, 로짓회귀분석) 74
〈표 5-11〉 산모 체중별 주산기사망위험(검진연결 단태아, 로짓회귀분석) 75
〈표 5-12〉 산모 체질량지수별 주산기사망위험(검진연결 단태아, 로짓회귀분석) 76
〈표 5-13〉 산모 혈압수준별 주산기사망위험(검진연결 단태아, 로짓회귀분석) 77
〈표 5-14〉 산모혈색소수준별 주산기사망위험(검진연결 단태아, 로짓회귀분석) 77
〈표 5-15〉 산모 연령 및 건강관련특성별 주산기사망위험(검진연결 단태아,... 79
〈표 5-16〉 산모 연령, 재태기간 및 건강관련특성별 주산기사망위험(검진연... 81
〈표 6-1〉 산모 연령별 저출생체중아 출생률(전체 정상출생 단태아) 84
〈표 6-2〉 산모연령별 저출생체중아 출생률(검진자료 연결 정상출생 단태아) 85
〈표 6-3〉 산모신장별 저출생체중아 출생률(검진자료 연결 정상출생 단태아) 85
〈표 6-4〉 산모체중별 저출생체중아 출생률(검진자료 연결 정상출생 단태아) 86
〈표 6-5〉 산모 체질량지수별 저출생체중아 출생률(검진자료 연결 정상출생... 87
〈표 6-6〉 산모 혈압수준별 저출생체중아 출생률(검진자료 연결 정상출생 단... 87
〈표 6-7〉 산모 혈색소 수준별 저출생체중아 출생률(검진자료 연결 정상출생... 88
〈표 6-8〉 산모 연령별 저출생체중아 출생위험(전체 단태아) 89
〈표 6-9〉 산모 연령별 저출생체중아 출생위험(검진연결 정상출생 단태아) 90
〈표 6-10〉 산모 신장별 저출생체중아 출생위험(검진자료 연결 정상출생단태아) 90
〈표 6-11〉 산모 체중별 저출생체중아 출생위험(검진자료 연결 정상출생단태아) 91
〈표 6-12〉 산모 체질량지수별 저출생체중아 출생위험(검진자료 연결 정상출... 92
〈표 6-13〉 산모 혈압수준별 저출생체중아 출생위험(검진자료 연결 정상출생... 93
〈표 6-14〉 산모 혈색소 수준별 저출생체중아 출생위험(검진자료 연결 정상... 94
〈표 6-15〉 산모 연령 및 건강관련특성별 저출생체중아 출생위험(검진자료... 96
[그림 1-1] 영아사망·사산·모성사망 조사 흐름도 19
이용현황보기
가상서가
원문구축 및 2018년 이후 자료는 524호에서 직접 열람하십시요.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 표시는 필수사항 입니다.
* 주의: 국회도서관 이용자 모두에게 공유서재로 서비스 됩니다.
저장 되었습니다.
국회전자도서관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 로그인을 하시려면 아이디와 비밀번호를 입력해주세요. 모바일 간편 열람증으로 입실한 경우 회원가입을 해야합니다.
공용 PC이므로 한번 더 로그인 해 주시기 바랍니다.
아이디 또는 비밀번호를 확인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