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표제지
제출문
목차
Abstract 10
요약 12
제1장 서론 26
제1절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28
제2절 연구목적 32
제3절 연구방법 및 연구내용 33
1. 연구방법 33
2. 연구범위 및 내용 34
제2장 우리나라 의사양성제도 36
제1절 기본의학교육 39
1. 기본의학 교육제도 39
2. 입학 및 학생 선발 44
3. 임상실습교육의 중요성 45
4. 의사면허시험 49
5. 의과대학 교수 51
제2절 졸업 후 교육 52
1. 1차 진료의사 교육 52
2. 인턴 및 전공의 교육 54
제3절 의사 평생교육 65
1. 전문의 제도 65
2. 전문의 진료 위주의 한국적 의료 특성 70
제3장 지역간 의사인력의 수급불균형 분석 72
제1절 의사인력의 지역간 불균형 분석 74
1. 지니계수를 적용한 불균형 분석 75
2. 회귀분석을 통한 지역별 불균형수준 분석 77
3. 시사점 88
제2절 의사인력의 지역간 불균형 원인분석 88
1. 기술적인 분석 89
2. 다항로짓모델을 통한 불균형 원인분석 91
3. OLS분석을 통한 불균형 원인분석 93
4. 시사점 96
제4장 의료기관 종별 의사인력 수급불균형 분석 98
제1절 의료기관종별 의사인력 수급 현황 100
1. 법적 인력기준 100
2. 연도별 의사인력 추이 101
제2절 의료기관종별 의사인력 불균형 분석 105
1. 병원규모별 의사인력 105
2. 병상규모별 조정의사인력 107
3. 지역별 의사인력 108
4. 지역별 조정의사인력 111
5. 설립주체별 의사인력 112
제3절 의료기관종별 적정(상위그룹) 의사수 추계 115
1. 의료기관종별 적정 의사수 추계 115
2. 지역별 종별 적정 의사수 추계 133
제4절 정책적 시사점 148
1. 의료기관종별 의사수 불균형 현상 148
2. 의료기관종별 의사수 불균형 원인 149
3. 의료기관종별 적정 의사수 추계 151
4. 연구의 한계점 및 제안점 154
제5장 전문과목별 의사인력 수급불균형 분석 156
제1절 전공의 제도 현황 158
1. 전공의 제도 현황 159
2. 전공의 관련제도 160
3. 전공의 선발 및 정원책정 162
제2절 전공의 수급불균형 원인분석 163
1. 전문과목별 전공의 지원 및 확보 현황 164
2. 전문과목별 전공의 불균형 지수 167
3. 전공의 불균형의 상관분석 173
4. 전문과목별 의사인력 수급불균형 원인 175
5. 시사점 177
제6장 주요 국가 의사수급정책 고찰 178
제1절 미국 180
1. 보건의료제도 180
2. 의사공급현황 181
3. 의사수급관리 정책 183
4. 장기추계와 전망 190
제2절 캐나다 203
1. 보건의료제도 203
2. 의사공급현황 204
3. 의사수급관리 정책 205
제3절 영국 209
1. 보건의료제도 209
2. 의사공급현황 210
3. 의사수급관리정책 210
제4절 호주 216
1. 보건의료제도 216
2. 의사공급현황 217
3. 의사수급관리정책 218
제5절 독일 221
1. 보건의료제도 221
2. 의사공급현황 222
3. 의사수급관리정책 224
제6절 일본 225
1. 보건의료제도 225
2. 의사공급현황 226
3. 의사수급관리정책 227
제7절 주요 국가 의사정책에서의 시사점 231
제7장 결론 234
참고문헌 238
부록 246
부록 1. 의사인력 수급추계 모델 구축 248
부록 2. 주요국가의 의사양성체계 258
[그림 2-1] 우리나라 신설 의과대학 설립년도 43
[그림 2-2] 영국의학교육 과정: General Medical Council, GMC Memo template(Online). 2011 50
[그림 2-3] 캐나다의 현행 레지던트 교육 58
[그림 2-4] CanMEDS Roles 59
[그림 2-5] 영국 내과(급성질환) 전문의 시험 응시자격 부여 도식 64
[그림 3-1] 의사의 지역간 불균형 정도(2000~2006년) 76
[그림 3-2] 의사의 지역간 불균형 정도(2006~2011년) 76
[그림 3-3] 의사의 지역간 불균형 정도(2000~2011년) 77
[그림 4-1] 병상규모별 평균 의사수 106
[그림 4-2] 병상규모별 지역별 의사인력 109
[그림 4-3] 지역별 병상규모별 100병상당 의사인력 수 110
[그림 4-4] 병상 규모별 설립주체별 의사인력 수(2011년) 113
[그림 4-5] 설립주체별 병원규모별 의사인력 수 114
[그림 4-6] 전국 의료기관(의원 제외)의 병상수와 의사수의 산점도 117
[그림 4-7] 상급종합병원의 병상수와 의사수의 산점도 118
[그림 4-8] 1,000병상 이상 상급종합병원의 병상수와 의사수의 산점도 120
[그림 4-9] 500병상 이상 상급종합병원의 병상수와 의사수의 산점도 121
[그림 4-10] 종합병원의 병상수와 의사수의 산점도 123
[그림 4-11] 500병상 이상 종합병원의 병상수와 의사수의 산점도 124
[그림 4-12] 300~499병상 이상 종합병원의 병상수와 의사수의 산점도 126
[그림 4-13] 300병상 미만 종합병원의 병상수와 의사수의 산점도 128
[그림 4-14] 병원(30병상이상)의 병상수와 의사수의 산점도 130
[그림 4-15] 요양병원(30병상이상)의 병상수와 의사수의 산점도 132
[그림 4-16] 서울지역 상급종합병원의 병상수와 의사수의 산점도 134
[그림 4-17] 6대광역시 상급종합병원의 병상수와 의사수의 산점도 134
[그림 4-18] 중소도시 상급종합병원의 병상수와 의사수의 산점도 135
[그림 4-19] 서울 소재 종합병원의 병상수와 의사수의 산점도 137
[그림 4-20] 광역시 소재 종합병원의 병상수와 의사수의 산점도 138
[그림 4-21] 중소도시 종합병원의 병상수와 의사수의 산점도 138
[그림 4-22] 군지역 종합병원의 병상수와 의사수의 산점도 139
[그림 4-23] 서울지역 병원의 병상수와 의사수의 산점도 142
[그림 4-24] 광역시 소재 병원의 병상수와 의사수의 산점도 142
[그림 4-25] 중소도시 병원의 병상수와 의사수의 산점도 143
[그림 4-26] 군지역 소재 병원의 병상수와 의사수의 산점도 143
[그림 4-27] 서울지역 요양병원의 병상수와 의사수의 산점도 145
[그림 4-28] 광역시 요양병원의 병상수와 의사수의 산점도 145
[그림 4-29] 중소도시 요양병원의 병상수와 의사수의 산점도 146
[그림 4-30] 군지역 요양병원의 병상수와 의사수의 산점도 146
[그림 5-1] 전공의 수련기관 및 전공의 평가 체계 161
[그림 6-1] 이해 관계자들에 따른 적절한 의사 공급 193
[그림 6-2] 주에 따른 의사 수요와 공급 비교(2001) 199
[그림 6-3] 학위별(MD/DO) 인구 십만명당 임상 의사 수(2010) 200
등록번호 | 청구기호 | 권별정보 | 자료실 | 이용여부 |
---|---|---|---|---|
0001862234 | 362.1 -13-43 |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 이용가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