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자료 카테고리

검색결과

검색결과 (전체 1건)

검색결과제한

열기
자료명/저자사항
초·중등학교 교육과정 총론-각론 연계성 제고 방안 =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coherence between general guidelines and subject curriculum in primary and secondary school curriculum / 교육부 [편]
발행사항
세종 : 교육부, 2019
청구기호
379.155 -20-5
자료실
[서울 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형태사항
xvi, 168 p. : 삽화 ; 26 cm
총서사항
교육부-위탁 ; 2019-06
제어번호
MONO1202019445
주기사항
주관연구기관명: 성결대학교
연구책임자: 홍은숙 ; 공동연구원: 김경자, 황규호, 온정덕, 이경진, 정혜승, 권오남, 모경환, 송진웅
부록: 교과별 FGI 질문지 ; 핀란드 초·중등학교 교육과정(2014, 2015) 총론-각론 연계성 현황
참고문헌 수록
원문

목차보기더보기

표제지

제출문

연구협력진

목차

연구요약 9

I. 서론 17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7

가. 연구의 필요성 17

나. 연구의 목적과 연구 문제 19

2. 주요 연구 내용 및 방법 20

가. 주요 연구 내용 20

나. 연구 방법 21

II. 총론-각론 연계성 연구의 배경 25

1. 총론-각론 연계성 탐구의 필요성과 과제 25

가. 총론-각론 연계성 탐구의 필요성 25

나. 총론-각론 연계성 부족 현상에 관한 탐구 과제 27

다. 2015 개정 교육과정 개발에서의 총론-각론 연계 강화 노력 27

2. 총론-각론 연계성 부족의 의미와 사례 31

가. 총론-각론 연계성 부족의 의미 31

나. 총론-각론 연계성 부족의 사례 33

III. 총론-각론 연계성 강화를 위한 과제 39

1. 총론 관점에서의 개선 과제 39

가. 국가 교육과정 개발 원칙의 실천 부족 39

나. 총론-각론 소통 문제와 각론조정위원회의 역할 개선 44

다. 교과 별 학습 내용 규정 및 용어 사용의 공통된 이해 부족 46

라. 교과 공통 지침의 성격 및 역할의 모호성 53

마. 성취기준의 적절성 문제 54

2. 각론 관점에서의 개선 과제 57

가. 총론-각론 소통 체계와 총론 개발팀의 역할 57

나. 각론 개발진 구성과 교과 내 및 교과 간 소통 부족 61

다. 용어의 모호함과 적용 관련 문제 66

라. 성취기준에 대한 이해 차이와 학습 내용 제시 방식의 적절성 69

마. 개정 작업을 위한 시간과 실행을 돕는 소통 창구 부족 70

3. 총론-각론 연계 관련 해외 사례 분석 71

가. 국가 교육과정 개발=함께 권한을 가지고 만들어 가는 학습 과정 : 핀란드 사례 71

나. 다양한 집단의 참여와 교사의 전문성 강화 : 핀란드, 싱가포르, 미국 사례 75

다. 역량을 중심으로 일관성 있는 교육과정 구성: 핀란드, 호주 사례 79

라. 교과 특수성에 기반한 교과 공통 내용 체계 : 캐나다, 호주, 싱가포르 사례 비교 88

마. 학년 말에 도달하게 될 성취의 기준: 호주 사례 97

IV. 총론-각론 연계성 강화 방안 109

1. 총론-각론 연계 강화를 위한 개선 과제 개관 109

가. 총론과 각론 연구진의 상호이해 증진을 위한 과제 110

나. 교육과정 개발 절차와 제도의 개선 과제 110

2. 총론-각론 연계 강화를 위한 개선 방안 111

가. 총론과 각론의 상호이해 증진을 위한 교류 및 기초 연구 활성화 111

나. 총론-각론의 연계 강화를 위한 교육과정 개발 절차와 제도의 개선 방안 116

3. 총론-각론 연계 강화를 위한 교과 교육과정 개발에 대한 제언 120

가. '핵심역량', '교과 역량' 및 '기능'의 연계 강화 방향 120

나. 학습 내용의 성격과 조직 개선 123

참고문헌 126

부록 129

부록 1. 국어과 F.G.I에 대한 면담조사 질문지 131

부록 2. 핀란드 초·중등학교 교육과정(2014, 2015) 총론-각론 연계성 현황 139

I. 도입 139

II. 핀란드 교육과정 거버넌스와 국가 교육과정 개발체제 142

III. 2014 종합학교 교육과정(1~9학년) 146

IV. 일반계 고등학교(9~12학년)를 위한 2015 국가 교육과정 개정 및 그 후 164

V. 논의 178

참고문헌 181

〈표 I-1〉 본 연구의 연구방법 22

〈표 II-1〉 2015 개정 교육과정 총론과 각론 개정까지의 과정 30

〈표 III-1〉 2015 개정 교육과정의 핵심역량과 교과역량 66

〈표 III-2〉 핀란드 종합학교 2014 국가 교육과정 목차 79

〈표 III-3〉 핀란드 교과 교육과정 구성 82

〈표 III-4〉 핀란드 3~6학년 '언어' 교육과정 83

〈표 III-5〉 6학년 말 지식과 기능을 설명하는 서술평가의 '좋음'과 8점 척도 평가 기준 84

〈표 III-6〉 캐나다, 호주, 싱가포르의 국어과 내용 조직 90

〈표 III-7〉 캐나다, 호주, 싱가포르의 수학과 내용(지식) 조직 92

〈표 III-8〉 캐나다, 호주, 싱가포르의 수학과 내용(기능) 조직 93

〈표 III-9〉 캐나다, 호주, 싱가포르의 사회과 내용(지식) 조직 94

〈표 III-10〉 캐나다, 호주, 싱가포르의 사회과 내용(기능) 조직 95

〈표 III-11〉 캐나다, 호주, 싱가포르의 과학과 내용(지식) 조직 96

〈표 III-12〉 캐나다, 호주, 싱가포르의 과학과 내용(기능) 조직 97

[그림 III-1] 교육의 일관성을 위한 틀 42

[그림 III-2] Wiggins & McTighe의 교육내용의 우선순위 49

[그림 III-3] 기능의 의미 51

[그림 III-4] 핀란드 교육 풍토 72

[그림 III-5] 핀란드의 국가 교육과정 참여 집단과 관계 76

[그림 III-6] 호주 국가 교육과정에서의 일반 능력 86

[그림 III-7] 문식성의 핵심 아이디어(구성 요소) 86

[그림 III-8] 호주의 일반 역량 '문식성'의 발달 스펙트럼 87

[그림 III-9] 호주 영어과의 6학년 내용 설명 예시 98

[그림 III-10] 호주 영어과의 6학년 성취기준 예시 99

[그림 III-11] 호주 수학과의 8학년 내용 설명 예시 100

[그림 III-12] 호주 수학과의 8학년 성취기준 예시 100

[그림 III-13] 호주 사회과 4학년의 학습 내용 초점 설명 101

[그림 III-14] 호주 사회과 4학년 내용 설명(탐구와 기능) 예시 102

[그림 III-15] 호주 사회과 4학년 내용 설명(지식과 이해) 예시 103

[그림 III-16] 호주 사회과의 4학년 성취기준 예시 104

[그림 III-17] 호주 사회과의 4학년 성취기준(역사) 예시 104

[그림 III-18] 호주 과학과 6학년 내용 설명(과학의 이해) 예시 105

[그림 III-19] 호주 과학과 6학년 내용 설명(인간의 노력으로서의 과학) 예시 105

[그림 III-20] 호주 과학과 6학년 내용 설명(과학 탐구 기능) 예시 106

[그림 III-21] 호주 과학과의 6학년 성취기준 예시 106

이용현황보기

이용현황 테이블로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로 구성 되어있습니다.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
0002629461 379.155 -20-5 [서울 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이용가능

가상서가

권호기사보기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