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회도서관 서비스 이용에 대한 안내를 해드립니다.
검색결과 (전체 1건)
원문아이콘이 없는 자료는 국회도서관에 방문하여 책자로만 이용이 가능합니다.
목차보기더보기
○ 추천사● 여는 글: 정전 70년, 다섯 번째 ‘평화의 파도’를 기다리며1부 비대칭 탈냉전과 한 민족 두 국가의 시작 1990-19971 한소수교와 사라진 핵우산 2 남북한 UN 동시·분리 가입 3 하나와 둘 사이의 희비극, 남북기본합의서 ① 4 김일성은 만세 부르고 김영철이 투덜거린 까닭은? 남북기본합의서 ② 5 남북교류협력법, 분단사의 분수령 깊이 읽기 1989년 평양의 문익환과 황석영, 그리고 임수경6 1992년 대선과 ‘훈령 조작 사건’ 7 북핵문제, 미국이 남북관계에 심은 트로이목마 8 “한반도에 미군 있어야” 김정일의 파격 제안 걷어찬 미국 9 북일관계 정상화, 미국은 왜 두 차례나 틀어막았나? 10 한중수교, 동북아의 근본을 재편하다 11 북한이 던진 90일 시한의 ‘핵폭탄’, 핵확산금지조약(NPT) 탈퇴 12 벼랑에서 추는 춤, 공갈과 협상의 앙상블 깊이 읽기 푸에블로호 사건, 북미관계 이상한 공식의 기원13 벼랑 끝에서 열린 공존의 문, 북미 제네바 기본합의 14 김일성의 죽음, 근친증오의 폭발 깊이 읽기 김영삼 정부의 대북정책, ‘귀동냥 외교’의 악몽2부 좁디좁은 평화의 회랑으로 1998-20071 김대중, ‘고난의 행군’ 북에 손을 내밀다 2 금강산관광, 어느 실향민의 수구초심 3 “김정일이 어떤 인물인지 알아오시오” 4 적대에서 악수를 거쳐 포옹으로, 사상 첫 남북정상회담 ① 5 김대중-김정일의 합창, “통일은 과정이다” 사상 첫 남북정상회담 ② 6 개성공단, 남북협력의 가장 높고 넓은 고원 7 조선인민군 서열 1위, 워싱턴에 가다 8 역사에 가정은 없다지만…김정일-클린턴 북미정상회담 좌초 9 “북한은 악의 축” 부시와 네오콘의 도발 10 미국은 왜 2차 핵위기를 만들었나? 11 6자회담, 미국의 회피와 중재자 중국의 출현 12 9·19 공동성명, 한중 협력외교와 동북아 탈냉전 청사진13 네오콘의 BDA 제재, 핵실험을 부르다깊이 읽기 미국의 대북정책, 민주당과 공화당은 얼마나 다를까?14 서해평화협력특별지대, 노무현-김정일이 벼린 평화번영의 꿈 15 포기할 수 없는 꿈, 한반도 종단 철도·도로 깊이 읽기 미국은 왜 남북연결사업에 비협조적일까?3부 10년의 겨울과 2년의 봄 2008-20201 이명박 정부의 대북강경책과 북한붕괴론 2 금강산관광 10년과 멈춰 선 미래 3 김정일의 죽음, 관계회복 기회를 걷어찬 한국4 서해 북방한계선(NLL), 한반도의 화약고5 개성공단의 성민과 숙희들6 누가 통일을 만드는 공장을 살해했나? 개성공단 폐쇄 7 김정은의 병진노선, 핵실험과 제재의 악순환 8 김정은의 ‘평양시간’과 우리 국가제일주의9 전쟁위기에서 피어난 평화의 꽃, 평창올림픽깊이 읽기 남북 화해·협력의 마중물, TEAM KOREA10 문재인·김정은의 외침, “이제 전쟁은 없다” 2018 남북정상회담 ① 11 6·12 북미공동성명, 김정은·트럼프+문재인의 탈냉전 설계도 12 트럼프의 변심, 하노이의 저주깊이 읽기 북한에도 강경파-온건파 갈등이 있을까?13 희망은 절망보다 힘이 세다, 2018 남북정상회담 ② ● 닫는 글: 남북미중 4자회담으로 ‘평화체제’의 문을 열자○ 주
이용현황보기
가상서가
원문구축 및 2018년 이후 자료는 524호에서 직접 열람하십시요.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 표시는 필수사항 입니다.
* 주의: 국회도서관 이용자 모두에게 공유서재로 서비스 됩니다.
저장 되었습니다.
로그인을 하시려면 아이디와 비밀번호를 입력해주세요. 모바일 간편 열람증으로 입실한 경우 회원가입을 해야합니다.
공용 PC이므로 한번 더 로그인 해 주시기 바랍니다.
아이디 또는 비밀번호를 확인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