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표제지
제출문
요약문
목차
제1장 서론 24
1. 해수면 상승 25
2. 퇴적물 이동연구 28
3. 연구 방향 29
제2장 침퇴적 해안과 모니터링 및 저감기술 사례 분석 31
1. 침퇴적 국내외 현황 파악 및 사례분석 31
(1) 기존자료 및 문헌을 통한 국내 사업 결과 및 활용성 분석 31
(2) 해역별 침퇴적 검토·분석 및 유형분류 45
(3) 국내외 침퇴적 피해상황 사례 조사 및 대처사항 분석 54
2. 침퇴적 모니터링 및 저감기술 선행연구 검토·분석 66
(1) 침식 모니터링 기법 분석 66
(2) 시공된 침식저감기술 분석을 통한 문제점 및 개선안 도출 75
3. 해외 모니터링기술 및 침식저감기술 성공 및 실패사례 분석 78
(1) 침식저감기술 성공 및 실패사례 분석 78
제3장 해안 및 조간대 침퇴적 관측 기술 96
1. 해안 관측 96
(1) RTK-GPS 관측 96
(2) 카메라 모니터링 98
(3) 항공 관측 106
(4) 위성 관측 112
(5) LiDAR 관측 117
2. 조간대/조하대 관측 135
(1) 카메라를 이용한 조간대 지형 모니터링 135
(2) 위성을 이용한 조간대 지형 모니터링 139
(3) 선박을 이용한 조하대 지형 모니터링 146
(4) 제트스키와 무선 조정보트를 이용한 수심 관측 149
제4장 해역별 사례해안 분석 153
1. 동해안 침식 154
(1) 동해안 침식 현황 154
(2) 후정 백사장 사례 157
2. 서해안 침식 172
(1) 서해안 침식 현황 172
(2) 운여 백사장 사례 176
3. 남해안 침식 194
(1) 남해안 침식 현황 194
(2) 송도 백사장 사례 194
4. 갯벌 침퇴적 및 보존 209
5. 갯벌 항만 매몰 방지 및 준설토 활용 217
(1) 항만매몰 사례 217
(2) 항만매몰 방지 공법 220
(3) 준설토 활용 222
제5장 결론 227
참고문헌 230
부록 239
부록1. 해안 침식 방지 공법의 장단점(국토해양부, 2010). 240
부록2. 수저준설토사의 유효 활용 기준 법령 242
부록3. 국가 자연해안관리목표(안) (2011~2016) 245
I. 개요 247
II. 자연해안관리목표 설정 절차 250
III. 국가 자연해안관리목표(안) 및 운영방안 254
IV. 향후 추진일정 255
참고 1. 연안 시·군·구별 해안 현황 256
참고 2. 광역 시·도별 목표(안) 258
참고 3. 추가 수요를 고려한 개발 면적 및 길이 산출 260
판권기 262
〈표 1-1〉 해안 변화의 시간 축적 (유근배, 2007) 24
〈표 1-2〉 해역별 상대해수면 및 절대해수면 변동률(국립 해양조사원, 2010) 26
〈표 2-1〉 해역별 연안정비사업 사례 특성 분류 31
〈표 2-2〉 연안침식 모니터링 조사항목 34
〈표 2-3〉 연안침식 비디오 모니터링 시스템 운영 결과(국토해양부, 2010) 36
〈표 2-4〉 연도별 연안침식 기본 모니터링 평가 결과 38
〈표 2-5〉 연안침식 기본 모니터링 대상지역의 현황평가 결과 39
〈표 2-5〉 연안침식 기본 모니터링 대상지역의 현황평가 결과(계속) 40
〈표 2-5〉 연안침식 기본 모니터링 대상지역의 현황평가 결과(계속) 41
〈표 2-5〉 연안침식 기본 모니터링 대상지역의 현황평가 결과(계속) 42
〈표 2-5〉 연안침식 기본 모니터링 대상지역의 현황평가 결과(계속) 43
〈표 2-5〉 연안침식 기본 모니터링 대상지역의 현황평가 결과(계속) 44
〈표 2-6〉 해역별 침식등급 및 침식유형(국립해양조사원(2010), 경북(2010), 강원(2010)) 45
〈표 2-7〉 강원도 고성군 상태빌 해안침식 사례 54
〈표 2-8〉 강원도 속초시 영랑동 해안침식 사례 55
〈표 2-9〉 강원도 강릉시 남항진 해안침식 사례 56
〈표 2-10〉 경북 울진군 봉평리 해안침식 사례 57
〈표 2-11〉 경북 포항시 송도해안 해안침식 사례 58
〈표 2-12〉 전남 무안군 운남면 하묘~성내지구 해안침식 사례 59
〈표 2-13〉 충남 태안군 백사장해안 해안침식 사례 60
〈표 2-14〉 우리나라 국가어항 준설토 발생량(국토해양부 항만정책과, 2010) 62
〈표 2-15〉 우리나라 항만준설토 발생량(한국해양연구원, 2007) 63
〈표 2-16〉 2000~2006년 우리나라 항만준설토 처리 및 활용실적(한국해양연구원, 2007) 64
〈표 2-17〉 2006년 전국 투기장 수토율(한국해양연구원, 2007) 64
〈표 2-18〉 국토해양부 연안침식 모니터링 방법(2010년 연안침식 모니터링, 2010) 66
〈표 2-19〉 태풍 덴무 전후 해빈 폭 변화 71
〈표 2-20〉 대탄리해안 항공사진 분석 결과 75
〈표 2-21〉 Sea Palling 해안 방호전략 수립을 위한 공법 검토결과(Hamer et al. 1998, 2000) 83
〈표 3-1〉 접촉식 관측 장비인 TS 및 RTK 정점 관측 특성 비교(정의영 등, 2011) 98
〈표 3-2〉 연구에 사용된 영상과 RMS 오차(엄진아 등, 2010) 113
〈표 3-3〉 항공레이저측량 장비의 주요 사항(김대식, 2003) 123
〈표 3-4〉 국내항공라이다 측량 장비 도입현황(위광재 등, 2009) 125
〈표 3-5〉 국립해양조사원의 항공라이다 측량적용 현황(위광재 등, 2009) 126
〈표 3-6〉 항공레이저 수심측량 시스템 주요사항(정현 등, 2006) 131
〈표 3-7〉 곰소만 조간대 지형 관측을 위하여 사용된 위성 자료 및 해수면 정보(RYU et al, 2008) 140
〈표 3-8〉 전세계 레이다 위성 운영 계획 145
〈표 3-9〉 X-band SAR 비교 146
〈표 4-1〉 동해안 일원의 해안침식 피해 현황(김경남과 김범수, 2010) 155
〈표 4-2〉 동해안의 유형별 침식원인(조광우 등, 2006) 156
〈표 4-3〉 후정 백사장 환경 (국토해양부, 2010) 158
〈표 4-4〉 후정 백사장 시설현황(국토해양부, 2010) 159
〈표 4-5〉 침식현황 변화 분석(항공사진) (국토해양부, 2010) 160
〈표 4-6〉 침식현황 변화 분석(현지 사진) (국토해양부, 2010) 161
〈표 4-7〉 울진 원자력 발전소 일반 현황(동해연안보전협회, 2010) 163
〈표 4-8〉 울진 원자력 발전소 해안구조물 공사내용(동해연안보전협회, 2010) 164
〈표 4-9〉 해안선 측량에 따른 면적변화 분석 결과(동해연안보전협회, 2010) 167
〈표 4-10〉 우리나라 해안사구의 지역별 분포(한국해양수산개발원, 2005) 173
〈표 4-11〉 해사 채취에 의한 백사장 침식 사례(주민 주장에 의한 언론 기고 사례) 174
〈표 4-12〉 서해안의 유형별 침식원인(조광우 등, 2006) 175
〈표 4-13〉 운여 백사장 환경(국토해양부, 2010) 177
〈표 4-14〉 운여 백사장 시설 현황(국토해양부, 2010) 178
〈표 4-15〉 운여 백사장 과거 항공 사진(사진은 유근배(2011) 참조 1947, 1967, 1977) 180
〈표 4-16〉 고남면 지내와 인근의 광업권 설정 현황 181
〈표 4-17〉 2003년부터 2005년까지의 운여 백사장 피해 상황(국토해양부, 2010) 182
〈표 4-18〉 연안정비(장곡지구)사업 추진현황, 태안 군청 서류(2009) 183
〈표 4-19〉 2006-2009년 운여 백사장 양빈 사업과 완경사 호안 건설(국토해양부, 2010) 185
〈표 4-20〉 다사리 해안 침식 진행 상황 191
〈표 4-21〉 다사리 해안의 침식을 방지하기 위하여 설치한 퇴사울 192
〈표 4-22〉 남해안의 유형별 침식원인(조광우 등, 2006) 195
〈표 4-23〉 송도 백사장 환경(국토해양부, 2010) 196
〈표 4-24〉 송도 백사장 시설현황(국토해양부, 2010) 197
〈표 4-25〉 부산 송도 연안정비사업의 개요(총사업비:430억)108) 부산시 서구, 2002). 199
〈표 4-26〉 송도해수욕장 정비사업 내역(해양수산부, 2006) 200
〈표 4-27〉 침식현황 변화 분석(항공사진)(국토해양부, 2010) 201
〈표 4-28〉 침식현황 변화 분석(사진)(국토해양부, 2010) 202
〈표 4-29〉 행정구역별 갯벌의 면적(고철환, 2001) 209
〈표 4-30〉 갯벌 가치 추정(연간)(새만금 환경영향 공동조사단, 2000) 211
〈표 4-31〉 새만금공동조사단이 추정한 새만금 갯벌의 연간 총 가치추정(새만금 환경영향 공동조사단, 2000) 213
〈표 4-32〉 외국의 준설토 재활용 용도(박준범 등, 2011) 223
〈표 4-33〉 송포항 준설토를 활용한 변산해수욕장 양빈 사업 224
〈그림 1-1〉 IPCC 예측과 해수면 상승 현황 비교(Rahmstort et al.(2007), 조광우 등(2009)) 26
〈그림 1-2〉 해수면 상승으로 인한 (a) 예상 범람 지역 면적 (b) 행정구역별 범람 지역 면적 (c) 행정구역별 피해액(Hwang et al., 2011) 27
〈그림 1-3〉 평형 이론 모식도 28
〈그림 1-4〉 퇴적물 크기에 따른 이동 경향을 파악하기 위한 물리 모형 실험. 29
〈그림 2-1〉 국토해양부 연안침식 모니터링 대상지역(경북, 강원 포함). 35
〈그림 2-2〉 연안침식 등급평가(국토해양부, 2010). 38
〈그림 2-3〉 해역별, 침식유형별 개소수(국토해양부, 2010). 46
〈그림 2-4〉 침식등급별 침식유형 개소수(국토해양부, 2010). 46
〈그림 2-5〉 강릉시 남항진해수욕장 침식사진(국토해양부, 2010). 47
〈그림 2-6〉 울진군 봉평리해안 침식사진(국토해양부, 2010). 48
〈그림 2-7〉 울진군 구산~월송정 해안 침식사진(국토해양부, 2010). 49
〈그림 2-8〉 포항시 송도해수욕장 침식사진(국토해양부, 2010). 50
〈그림 2-9〉 고창군 구시포해수욕장 침식사진(국토해양부, 2010). 51
〈그림 2-10〉 태안군 꽃지해수욕장 침식사진(국토해양부, 2010). 52
〈그림 2-11〉 서귀포시 하모해수욕장 침식사진(국토해양부, 2010). 53
〈그림 2-12〉 기본 모니터링 조사항목(2010년 연안침식 모니터링, 2010). 67
〈그림 2-13〉 정밀 모니터링 조사항목(2010년 연안침식 모니터링, 2010). 67
〈그림 2-14〉 Network RTK-GPS측량 결과(2010년 연안침식 모니터링, 2010). 69
〈그림 2-15〉 속초시 영랑동 해안 항공사진 분석 결과(2010년 연안침식 모니터링, 2010). 70
〈그림 2-16〉 태풍 덴무시 해운대 해수욕장 영상(2010년 8월). 71
〈그림 2-17〉 태풍 덴무 전후 해빈 폭 변화. 72
〈그림 2-18〉 서측지역 배후지 모래 퇴적 영상. 72
〈그림 2-19〉 국토해양부 연안침식 모니터링 대상지역. 73
〈그림 2-20〉 연안침식 등급평가(국토해양부, 2010). 74
〈그림 2-21〉 대탄리해안 현황. 76
〈그림 2-22〉 2006년 9월 섬유호안 붕괴사진. 77
〈그림 2-23〉 지오튜브(GEOTUBE) 설치 사진. 77
〈그림 2-24〉 양빈 전후의 Miami Beach. 78
〈그림 2-25〉 Miami Beach 배후지 정비전경. 79
〈그림 2-26〉 Sea Palling 해안 위치 (Thomalla and Vincent, 2003) 79
〈그림 2-27〉 1953년 고조해일 내습시의 Sea Palling (Viner and Sayer, 2004) 80
〈그림 2-28〉 Sea Palling 호안(a, b: Evans 2001, c: Dawson et al. 2007, d: Vincent 2006, e: http://flickr.com) 82
〈그림 2-29〉 Sea Palling 해안 침식·침수방호전략 (Hamer et al. 1998) 83
〈그림 2-30〉 5번 이안제 길이 (Google Earth) 84
〈그림 2-31〉 5, 6번 이안제 개구폭 (Google Earth) 84
〈그림 2-32〉 Sea Palling 이안제 단면도 (Halcrow, 1988) 85
〈그림 2-33〉 1단계 완공 1년 후 해안선변화 예측 결과 (Halcrow, 1991) 85
〈그림 2-34〉 착공 전 1년('92.08-'93.08) 동안의 지형변화 (Thomalla and Vincent, 2003) : 빗금영역은 표고변화 25 cm 미만을 나타냄 86
〈그림 2-35〉 시공기간('93.08-'95.08) 동안의 지형변화 (Thomalla and Vincent, 2003) 87
〈그림 2-36〉 완공 5개월 후('96.01') 수심도 (Thomalla and Vincent, 2003) 87
〈그림 2-37〉 6,7호기 개구부 배후 해안 침식방지공 87
〈그림 2-38〉 7,8호기 개구부 배후 해안 침식방지공 88
〈그림 2-39〉 양빈 2회('96.10,11) 실시 후('97.01) 수심도 (Thomalla and Vincent, 2003) 88
〈그림 2-40〉 평균해면 기준 이안제 설계변수 (Hamer et al. 1998) 89
〈그림 2-41〉 Sea Palling 해안방호 수정전략 (Hamer et al. 1998) 90
〈그림 2-42〉 Sea Palling 해안 91
〈그림 2-43〉 수리·퇴적현상 정밀관측시스템 STABLE 회수 (POL, 2005) 91
〈그림 2-44〉 Sea Palling 이안제 (POL, 2007) 92
〈그림 2-45〉 시마네현 고쓰 해안 이안제군 (2005년, Google Earth). 94
〈그림 2-46〉 고쓰 이안제 시공에 따른 해안선 변화 (우다 2004). 94
〈그림 2-47〉 2005년 고쓰 해안 이안제군 서측 (Google Earth). 94
〈그림 3-1〉 RTK GPS 측량 (a) 이동국을 신체에 부착하여 관측 (b) 4륜 오토바이에 이동국을 설치하여 측량하는 모습 (c) 무선조정모형 자동차에 이동국 설치하여 관측 ... 97
〈그림 3-2〉 VRS 개념도 및 처리과정 (한중희 등, 2010) 97
〈그림 3-3〉 국토지리정보원의 상시관측소 97
〈그림 3-4〉 RTK -GPS에 의한 해안선측량 방법(한충목과 김용석, 2009) 98
〈그림 3-5〉 (a)부산 해운대 백사장을 관측하기 위하여 설치된 카메라 모니터링 시스템. (b) 카메라를 이용한 해안 모니터링 시스템 운용 예 99
〈그림 3-6〉 대천 백사장의 모니터링 타워 설치 과정 100
〈그림 3-7〉 (a) 부산 해운대 전체 백사장을 관측하기 위하여 운영하고 있는 3대의 카메라 설치 위치 (b) 3개의 사이트에서 관측하고 있는 영상. 100
〈그림 3-8〉 부산 해운대 백사장을 관측한 3개의 사이트 영상을 기하 보정후 합성한 영상 101
〈그림 3-9〉 영상 처리 및 분석 과정 101
〈그림 3-10〉 해운대 백사장 10분 평균 영상. 102
〈그림 3-11〉 기하 보정을 통한 영상 처리 예 102
〈그림 3-12〉 지상 좌표계와 사진 좌표계와의 관계 104
〈그림 3-13〉 (a)파고, 조위 그리고 그림 3-11(a)의 XY 적색선의 화소선의 시계열 자료 (b)그림 3-11(a)의 XY 적색선의 화소선의 시계열 자료로부터 추출한 해안선 변화(김태림, 2003) 105
〈그림 3-14〉 해운대 백사장의 관측 영상으로부터 추출한 시계열 해안선 변화 105
〈그림 3-15〉 백사장 폭 및 면적 분석을 위한 영상 처리 예 106
〈그림 3-16〉 연구 흐름도(최철웅 등, 2005) 107
〈그림 3-17〉 (a) 정촌-나정 해안의 과거 해안선 변화를 분석하기 위하여 수집한 영상들 (b) 항공사진(1987-2004)으로부터 분석한 해안선 변화(유형석 등, 2004) 108
〈그림 3-18〉 둔두리 지역의 정사 보정 영상과 해안선 중첩 영상(우한별과 장동호, 2010) 108
〈그림 3-19〉 파도리 지역의 정사보정 영상과 해안 중첩 영상(우한별과 장동호, 2010) 109
〈그림 3-20〉 입체도화기 개념도. a : 투영면에 형성되는 좌 우측 부점, A' : 실제 도화 대상이 되는 주점 p : 투사기 주점거리, h : 투영거리, θ : 촬상면 간의 각도, O : 렌즈 109
〈그림 3-21〉 (a) 1977년 운여 백사장 항공사진 (b) 1977년 항공사진에서 추출 도화한 등고선 (c) 1977년 항공사진에서 얻은 운여 해안사구(유근배, 2005) 109
〈그림 3-22〉 소형 무인 비행기에 장비를 장착하여 이륙 시키는 모습(Kumada, 2010). 110
〈그림 3-23〉 신향사 해안에서 시험 비행시 비행 경로(Kumada, 2010). 110
〈그림 3-24〉 스틸 디지털 카메라 이미지의 합성 사진으로 (a) High Land(HL) 주변의 파도 (b) 이안류 (c) 쇄파대 (d) 주기 파장 (e) 탁도 분포에 주목하여 사각형 영역을 표시함(Kumada, 2010). 111
〈그림 3-25〉 그림 3-24에서 포착된 이상 현상에 대한 동영상 및 정밀 비디오카메라에 의한 연속영상(Kumada, 2010). 111
〈그림 3-26〉 UAV 관측 시스템(Gatewing, 2011) 112
〈그림 3-27〉 연구해역에서 관측한 항공사진 및 위성 영상으로 붉은색선은 해안선을 표시한다(엄진아 등, 2010). 114
〈그림 3-28〉 항공사진과 위성 영상으로부터 추출한 한국해양연구원 동해 연구소 근처의 해안선 변화 (a) 1971년부터 2004년... 115
〈그림 3-29〉 연구 해역인 Cabedelo sand spit(Teodoro et al., 2011) 115
〈그림 3-30〉 2005년 6월 3일 IKONOS-2 위성 영상으로부터 (b)영상처리(object- based classification)를 통하여 sand spit 부분을 추출한 예 (b)Maximum likelihood 알고리즘을 2005년 9월 18일 IKONOS-2 영상에 적용한 예(Teodoro et al., 2011). 116
〈그림 3-31〉 관측 종류별 공간 해상도와 관측 빈도와의 관계(이강원, 2010) 116
〈그림 3-32〉 지상 LiDAR 장비(LMS-Z210ii) 그림(전계원 등, 2010) 118
〈그림 3-33〉 만리포 백사장을 관측하기 위하여 지상라이다와 VRS-RTK 시스템을 탑재한 차량(심재설 등, 2010) 118
〈그림 3-34〉 지상 라이다로 관측한 만리포 백사장의 지형 변화(2009년 6월-2009년 3월, 심재설 등, 2010). 119
〈그림 3-35〉 (a) (Image Station(IS)(TOPCON사) (b)촬영 영상을 질감으로 표현한 3 차원 해빈 모형(이형석과 김인호, 2009) 120
〈그림 3-36〉 지상 라이다로 관측한 (a)2010년 9월 3일과 (b)2010년 11월 12일의 지형자료(Lee et al, 2011) 120
〈그림 3-37〉 지상라이다로 관측한 침식퇴적으로 인한 지형 변화(Lee et al, 2011) 121
〈그림 3-38〉 KOMOLIS(KORDI LIDAR SYSTEM)을 이용한 해빈 지형 조사 장면(한국해양연구원 홈페이지) 121
〈그림 3-39〉 항공 라이다 측량의 작업광경(상지대학교 지형 정보 연구실(http://gis.sangji.ac.kr)) 121
〈그림 3-40〉 라이다 시스템의 구성도(김대식, 2003) 122
〈그림 3-41〉 항공사진측량과 LiDAR 시스템의 비교(김대식, 2003) 124
〈그림 3-42〉 미국에서의 LiDar 해안선 측량(바투, 2003) 125
〈그림 3-43〉 해안서 조사 측량 작업 비교(위광재 등, 2009) 126
〈그림 3-44〉 항공레이저측량 장비 (ALTM Gemini 167) 세부 사양(국립해양조사원, 2010) 127
〈그림 3-45〉 전체 항공레이저 측량 코스도(국립해양조사원, 2010) 127
〈그림 3-46〉 항공레이저측량 데이터의 처리 흐름도(국립해양조사원, 2010) 127
〈그림 3-47〉 초기 해안선 추출 작업 과정(국립해양조사원, 2010) 128
〈그림 3-48〉 (a) DEM of the study area which was generated from LiDAR data, (b) DEM near the nuclear power plant, (c) DEM near KORDI,... 128
〈그림 3-49〉 항공 LiDAR 자료, (a) DSM, (b) DEM(한종규 등, 2009) 129
〈그림 3-50〉 태풍별 해수면 상승 모의결과를 적용한 침수지역(한종규 등, 2009) 130
〈그림 3-51〉 항공 수심레이저측량체계(강기원, 2011) 131
〈그림 3-52〉 (a)해양조사용(SHOALS)레이저 측량의 원리(강기원), (b)항공레이저 수심측량 방식(정현 등, 2006) 131
〈그림 3-53〉 Airborne Laser Bathymetry(SHOALS) 적용의 장점(Opetch, 2002) 132
〈그림 3-54〉 SBES, MBES 그리고 SHOALS 관측 자료 비교(Opetch, 2002) 132
〈그림 3-55〉 SHOALS를 이용한 인렛 지형 변화 관측(Opetch, 2002) 133
〈그림 3-56〉 SHOALS를 탑재하여 운영하는 소형 무선 헬리콥터.(Opetch,2002) 134
〈그림 3-57〉 2010년 우리나라 독도 주변 해역 지형에 대한 SHOALS 관측 예 134
〈그림 3-58〉 관측 종류별 공간 해상도 비교(강기원, 2011) 134
〈그림 3-59〉 조위 변화에 따른 수륙 경계선의 이동과 등심선의 관계를 보여주는 그림(김태림, 2006). 136
〈그림 3-60〉 밀물시 침식 지형(오목형)과 퇴적 지형(볼록형)에서의 수륙 경계선의 이동을 통하여 나타나는 등섬선의 예(김태림과 박석광, 2005). 136
〈그림 3-61〉 밀물시 시간에 따른 수륙경계선 변화의 위치를 통합함으로서 조간대 지형의 등고선도를 추출함. 136
〈그림 3-62〉 밀물시 조간대 연속 영상으로부터 조간대 등고선 정보를 추출하는 흐름도. 137
〈그림 3-63〉 새만금 1호 방조제 외측 갯벌 성장을 관측하기 위하여 수립한 조간대 카메라 모니터링 시스템(영상은 KARICO에서 제공받음)(김태림과 박석광, 2005). 138
〈그림 3-64〉 (a) 밀물시 수륙경계선을 보여주는 빗각 영상과 (b) 기하 보정 영상(김태... 138
〈그림 3-65〉 (a) 밀물시 촬영된 빗각 영상을 기하 보정한 후 길이 단위를 표시한 영상 (b) 수륙 경계선을 이용하여 추출한 조간대 갯벌의 등수심도(김태림과 박석광, 2005). 138
〈그림 3-66〉 이삿짐 센터 사다리에 카메라를 설치하여 관측하는 모습 139
〈그림 3-67〉 Helikite 시험 운행 (Young- Hyon Jo, 2011). 139
〈그림 3-68〉 Helikite에서 관측한 해안선(Young- Hyon Jo, 2011). 139
〈그림 3-69〉 (a) 조간대 지형 관측을 위한 연구 장소 및 해수면 정보를 취득하기 위하여 수행한 기선 정보를 보여주는 랜샛 TM 영상 (Ryu et al., 2008). (b) 곰소만 퇴적물 분포 종류(Chang and Choi, 1998). 141
〈그림 3-70〉 위성 영상으로부터 추출한 (a) 2000 과 (b) 1991 DEM과 (c) 조간대 지형 변화(Ryu et al., 2008). 141
〈그림 3-71〉 (a) TerraSAR-X영상에 나타난 지상기준점과 (b) 실제 현장에서의 지상 기준점(한국항공우주연구원, 2011) 143
〈그림 3-72〉 (a) 각기 다른 년도에 추출된 수륙 경계선과 해수면 정보를 위한 관측 지점 (b) 위성으로 추출한 고도와 관측 고도와의 비교(한국항공우주연구원, 2011) 143
〈그림 3-73〉 SAR 영상에 나타난 수륙 경계선(한국항공우주연구원, 2011) 144
〈그림 3-74〉 우리나라 위성 발사 계획 145
〈그림 3-75〉 단빔음향측심기 관측 방법 147
〈그림 3-76〉 단빔음향측심기 관측 자료 147
〈그림 3-77〉 다중빔 음향측심기 관측 방법 147
〈그림 3-78〉 다중빔 음향측심기 관측에 있어서 자세의 중요성 147
〈그림 3-79〉 음향 측심기 관측시의 조석 보정 147
〈그림 3-80〉 MBES 장비를 활용한 만리포 조간대 및 조하대 수심 관측(심재설 등, 2010) 148
〈그림 3-81〉 만리포 해역의 조간대 수심 측량시 LiDAR 측량과 MBES 측량을 중첩한 부분(심재설 등, 2010) 149
〈그림 3-82〉 MBES와 LiDAR 측량을 동시에 수행하여 취득한 만리포 연안 지형에 대한 고해상도 수심도(심재설 등, 2010) 149
〈그림 3-83〉 제트스키를 이용한 연안 지형 조사시스템(한국해양연구원 홈페이지) 149
〈그림 3-84〉 쇄파대 인근 해안에서의 수심 관측을 위한 제트스키 관측 시스템(MacMahan, 2001) 150
〈그림 3-85〉 제트스키에 수심 측량을 위하여 장비를 장착한 모습 (a) 옆모습((A) External Keypad; (B) External Screen Bellows; (C) External Screen Mounted in Watertight Case (b) 앞모습 (A) Three-Man Wave Runner; (B) ADCPMount; (C) Stern Wave Runner Compartment... 150
〈그림 3-86〉 RTK-GPS 무선 조정 보트(동해연안보전협회, 2010) 151
〈그림 3-87〉 RTK-GPS 무선 조정 보트를 활용하여 동해안의 해빈류 관측 모습(동해안보전협회, 2010) 151
〈그림 3-88〉 (a) RC-S2 모습 (b) 바다에서 관측 하는 모습(CODEN사 제공) 152
〈그림 3-89〉 RC-S2관측 시스템 152
〈그림 3-90〉 (a) 측량 경로 수립 그림 예 (b) 관측 자료(TIN 모델(3D)) 152
〈그림 4-1〉 우리나라 모래 해안의 실태와 환경관리방안 플로리다 주정부 연안 건축제한선 제도(CCCL)(김종덕, 2009) 153
〈그림 4-2〉 (a) 후정 백사장 인근 해안 및 시설물 (b) 후정 백사장 표시(동해연안보전협회, 2010) 157
〈그림 4-3〉 후정 백사장 전면 바다에서 본 사진(동해연안보전협회, 2010) 157
〈그림 4-4〉 울진 원자력 발전소 관련 연안 시설물 축조 및 증축(1-3차 공사)(동해연안보전협회,2010) 163
〈그림 4-5〉 1980년10월→2010년6월 해안선의 평면적 침/퇴적 변화 분석 결과 (부구천 하구)(동해연안보전협회, 2010) 165
〈그림 4-6〉 1980년10월→2010년6월 해안선의 평면적 침/퇴적 변화 분석 결과 (후정 전체)(동해연안보전협회, 2010) 165
〈그림 4-7〉 부구천 하구 지역 체적변화 분석 결과(동해연안보전협회, 2010) 166
〈그림 4-8〉 배수구 도류제 남단 지역 체적변화 분석 결과(동해연안보전협회, 2010) 166
〈그림 4-9〉 NNW~NE 파향 입사시 연안류벡터도(동해연안보전협회, 2010) 168
〈그림 4-10〉 울진 후정해수욕장, 부구해수욕장, 나곡해수욕장에서의 연간 총 순 연안표시량(동해연안보전협회, 2010) 169
〈그림 4-11〉 부구천과 후정천 하구지역의 단위 표시계 내에서의 모래 수지분석 (sand budget analysis) (동해연안보전협회, 2010) 170
〈그림 4-12〉 (a) 순환양빈(sand recycle)과 (b) 우회 양빈(Sand bypassing)(국토해양부, 2010) 171
〈그림 4-13〉 (a) 이동식 샌드바이패싱시스템 시험 운영 장면 및 (b) 설계 도면(권혁민 등, 2011) 171
〈그림 4-14〉 해사채취의 퇴적환경 변화 및 연안 침식 과정 모식도(한국해양수산개발원, 2006) 173
〈그림 4-15〉 태안군 운여 백사장(a) Google Earth 영상 (b) 항공 촬영 영상(유근배, 2011) 176
〈그림 4-16〉 운여 백사장 해안 제방이 끝나는 곳에서 말단부 효과로 인하여 심각한 침식 발생(유근배, 2006) 183
〈그림 4-17〉 항공사진으로부터 산출된 해안사구 지형도 (a) 1977 (b) 2003(유근배, 2005) 184
〈그림 4-18〉 심각한 침식 문제로 설치한 운여 백사장 옹벽 손실 관련 신문 기사 186
〈그림 4-19〉 양빈공법으로 사구복원을 하기로 결정했다는 신문 기사 187
〈그림 4-20〉 양빈 사업 중에도 계속적인 포락과 침식이 발생하였음. 187
〈그림 4-21〉 기존의 호안을 제거하고 양빈으로 운여 백사장 복원공사 2004년 12월 22일 188
〈그림 4-22〉 (a) 2010년, (b) 2009년, (c) 2008년 운여 백사장 인근 해역 모습(Daum 지도 제공) 188
〈그림 4-23〉 (a) 2010년, (b) 2009년, (c)2008년 운여 백사장 남쪽 해안 모습(Daum 지도 제공) 188
〈그림 4-24〉 해안 제방의 유실로 해수 침수가 발생한 구간에 대한 사진 ((a) 2010년, (b) 2009년, (c) 2008년, Daum 지도 제공) 189
〈그림 4-25〉 (a) 그림 4-24 운여백사장 침수 구간에 대한 공사 중 (2009년 8월, Naver 지도 제공)그림 4-24 (c)의 적색원에 해당하는 부분에 대한 영상 189
〈그림 4-26〉 2009년 운여 백사장 남쪽 모래 포집기 설치 해안(Naver 지도 제공) 190
〈그림 4-27〉 말단부 효과 192
〈그림 4-28〉 각기 다른 공법으로 인하여 불연속 효과가 나타나는 지점 A:돌제 해안-사석 경사 호안 B: 사석 경사호안-친수 계... 192
〈그림 4-29〉 다사리 백사장 전경 및 주요 침식 구간(2011년 해안산림 복원 현장토론회 자료)과 다사리 침식 현황도 193
〈그림 4-30〉 (a)2010년 (b)2008년 다사리 백사장 남쪽 해안 모습(Daum 지도 제공) 193
〈그림 4-31〉 (a) 모래 포집기가 월파하는 모습 (b) 모래 포집기 말목 절단 (c) 퇴사울 파손 193
〈그림 4-32〉 송도백사장 모습 (a) 1920년대 (b) 1940년대 (c) 1960년대 (d) 1995년(윤종성, 2011) 198
〈그림 4-33〉 부산 송도 연안정비사업 전(2001년) 199
〈그림 4-34〉 잠제 배치 형상(윤종성, 2011) 200
〈그림 4-35〉 (a) 등파고분포도 (b)해빈류 유동상황 (CASE-1, SSE, H1/3(0)=3.02m, T1/3(0)=11.1s)(부산시 서구, 2002)(이미지참조) 207
〈그림 4-36〉 지형변동량 (CASE-1, SSE, H1/3(0)=3.02m, T1/3(0)=11.1s)(부산시 서구, 2002)(이미지참조) 207
〈그림 4-37〉 계절에 따른 연안 사주의 변화 형태 208
〈그림 4-38〉 우리나라 지역별 연안 습지 분포 변화(해양수산부, 2005) 210
〈그림 4-39〉 Surinam 연안 시스템에서 관측한 갯벌에 의한 파랑 감소(Wells and Kemp, 1986) 212
〈그림 4-40〉 미국 루이지애나에서 관측은 해저의 니질 퇴적물에 의한 파랑 에너지 감소(Elgar and Raybenheimer, 2008) 212
〈그림 4-41〉 계절별 영광 갯벌 지형 변화(전승수, 2011) 214
〈그림 4-42〉 유속과 퇴적물 입자 크기에 따른 침퇴적 양상 214
〈그림 4-43〉 네덜란드 세립퇴적물 퇴적촉진 목책 단면·평면도(a), 유지 보수(b) 및 조성된 염습지(c) (국토해양부, 2010) 215
〈그림 4-44〉 일본 동경 카사이 해변공원으로 강하구에 갈고리 모양 제방을 축조하여 퇴적을 유도하여 공원화함. 215
〈그림 4-45〉 강화갯벌 (2004.9.1) : 강화도 남서부 갯벌의 세립퇴적물은 인천신공항 건설에 따른 유속강화로 모두 침식되었다. 사진은 퇴적촉진용 인공수초(국토해양부(2010)) 설치 전경 및 설치 후 모습 216
〈그림 4-46〉 인공수초 설치 후 퇴적고 변화(국토해양부, 2010) 216
〈그림 4-47〉 영진리 해안 1980년 상황(국토해양부, 2010) 218
〈그림 4-48〉 영진항 주변 해안 (a) 2008 (b) 2010 영진항 확대 영상 (c) 2008 (d) 2010 (daum 제공) 218
〈그림 4-49〉 영진항 매몰 관련 뉴스 및 신문 기사 219
〈그림 4-50〉 만곡형 해안 북측 곶에 어항이 건설된 후 계절별 표사 모식도(국토해양부, 2010) 220
〈그림 4-51〉 (a)수심 깊은 곳에 위치한 항만 (b) 해안으로부터의 거리에 따른 준설비용(Headland and Alfageme, 2006) 220
〈그림 4-52〉 CDW를 항내 매몰 방지 시스템(Headland and Alfageme, 2006) 221
〈그림 4-53〉 CDW를 활용한 항내 매몰 방지 시스템 원리(Headland and Alfageme, 2006) 221
〈그림 4-54〉 (a) 펌프를 이용한 항내 토사를 외부로 유출시키는 시스템 (b)항만을 경사지게 만들어서 토사를 유출시키는 시스템(Headland and Alfageme, 2006) 222
〈그림 4-55〉 수중모뎀을 이용한 실시간 평택-당진항 매몰율 모니터링 모식도 222
〈그림 4-56〉 준설토의 양빈 활용 관련 기사 224
〈그림 4-57〉 (a) 변산 해수욕장 백사장 정지 양빈공사시 준설토을 제공한 인근 송포항 위치 및 (b)변산해수욕장 백사장 정지양빈 공사 전후 영상 224
〈그림 4-58〉 (a) 변산 해수욕장 백사장 정지 양빈 공사 구역 및 (b) 양빈 공사 전후 표고 비교 225
〈그림 4-59〉 4대강 사업의 준설토 발생량과 준설토 처리 관련 신문 기사 226
■ 연안 침식 및 과퇴적 저감 기법 실용화 기획 연구
□ 본 과업은 지속적인 연안녹색성장의 기틀을 마련하기 위하여 해안침식 및 과퇴적에 따른 해저지형변형(해빈유실, 갯벌훼손) 및 구조물 피해 최소화에 필요한 실질적인 방안을 마련하고 연구방법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 과업을 수행하기 위하여 침퇴적 국내외 현황을 파악하고 사례를 분석하며, 침퇴적 모니터링 및 저감기술에 대한 선행 연구를 검토·분석하고 해역별 침퇴적 지질재해저감 방안과 연구 방향을 제시하는 것을 그 과업 범위로 한다.
□ 해수면 상승 및 퇴적물 이동 연구의 어려움.
① 우리나라 인근 해수면은 평균 2.5 mm/yr로 보고되고 있으며 서해는 1.3 mm/yr, 남해는 3.2 mm/yr, 동해는 2.2 mm/yr, 제주 인근 해역은 5.7 mm/yr의 해수면 상승률을 나타내고 있다. 이러한 상승률이 지속될 경우 해안선의 지속적인 침식과 후퇴가 발생할 것임을 인식하고 단계별 지역별 방호선을 마련하는 것이 시급하다.
② 퇴적물 이동 연구는 아직 해결되지 않은 부분이 많은 관계로 침식 혹은 퇴적으로 인한 문제가 발생하였을 때 정확한 해결방안이나 대책을 마련 하는데는 많은 어려움이 따른다. 따라서 충분한 시간을 가지고 현장 관측, 물리 모형 실험, 수치 모델 적용 등 다양한 방법으로 접근하며 각 분야의 전문가들의 의견을 종합하여 판단하는 것이 중요하다.
□ 침퇴적 해안과 모니터링 및 저감 기술 사례 분석
① 우리나라는 연안 침식 모니터링의 조사 항목에 따라 기본 모니터링(침식 이력조사) 157개소, 비디오 모니터링 24개소, 정밀 모니터링 35개소로 구분되어 있으며 사후 모니터링은 광역 지자체에서 주관하고 있다.
② 연안침식 기본 모니터링 결과 등급을 A(양호), B(보통), C(우려), D(심각)로 나누었을 경우 전체 조사지역 157개소 중 A등급은 10개소, B등급은 55개소, C등급은 64개소 그리고 D등급은 28개소로 나타났으며, 이 중 C등급 이하는 92개소로서 전체의 58.6%를 차지하였으며 해안침식이 심각한 D등급은 28개소로서 약 17.8%에 달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③ 침식 유형을 백사장 침식, 사구 포락, 암반 포락, 토사 포락, 호안 붕괴로 세분화하여 분석한 결과 백사장침식이 74.5%, 포락이 16.6%, 호안붕괴가 8.9%로 나타났다. 남해안의 경우 백사장침식 61%, 포락이 28%, 호안붕괴가 11%로 나타나고, 서해안의 경우 백사장침식 56%, 포락이 26%, 호안붕괴가 19%로 나타났으며 동해안은 백사장침식이 100%인 것으로 나타났다.
④ 침식 대표 사례로 동해안은 강릉시 남항진, 울진군 봉평, 구산-월송정, 포항시 송도 해수욕장, 서해안은 고창군 구시포, 태안군 꽃지 해수욕장과 하묘-성내지구, 남해안은 서귀포시 하모 해수욕장 등이 있으며 현재도 침식이 계속 발생하고 있다. 양빈사업의 해외 성공 사례로는 플로리다 마이애미 해안이 있으며 영국의 Sea Palling 해안의 경우 해안 침식과 침수를 대비하여 장기 전략을 수립하고 단계별 시공후 성과 검토를 통하여 전략을 수정함으로서 성공적인 해안 방호를 수행하였다.
□ 해안 및 조간대 침퇴적 관측 기술
① 해안 관측 방법에는 직접 관측 방법인 광파 측정기와 RTK-GPS를 활용하는 방법이 있으며 정확도는 높으나 넓은 해안을 동시에 관측 하는데는 많은 시간과 노력을 필요로 한다. 간접 관측 방법으로 지상에 설치한 카메라를 이용하거나 항공사진을 활용하는 방법이 있으며 공간 해상도는 떨어지지만 위성 영상을 활용할 수도 있다. 최근에는 소형 무인 항공기에 관측 장비를 탑재하여 관측하는 기술이 상용화되고 있어서 해안에서의 활용이 기대되고 있다.
② 라이다를 이용한 관측으로 지상라이다, 항공라이다 관측이 있으며 지상 라이다의 경우 좁은 구역이지만 정확한 3차원 지형 정보를 획득할 수 있으며 항공 라이다는 접근하기 어려운 구역이나 넓은 지형 등에 대하여 3차원 정보를 효과적으로 획득할 수 있다. 특히 SHOALS의 경우 두 개의 레이저를 사용함으로서 수면하의 지형 정보도 얻을 수 있으므로 관측이 어려운 조간대나 해안선 인근의 육상과 해수면 하의 지형을 관측하는데 효과적이다. 향후 서해안과 같이 탁도가 높은 해안에서의 정확도 등이 검증이 된다면 많은 활용이 기대된다.
③ 조간대 지형은 갯벌의 경우 이동과 관측 시간의 제약 등으로 지형 관측이 쉽지 않다. 그러나 밀물시 이동하는 수륙 경계선을 등심선으로 가정함으로서 카메라나 위성 영상 등을 이용하여 효과적으로 관측할 수 있다. 특히 위성에 탑재된 SAR 센서를 활용하는 경우 기상과 주야간을 구분하지 않고 관측이 가능하므로 많은 영상을 확보할 수 있어서 효과적으로 넓은 조간대 지형 관측에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④ 선박을 이용하여 관측하는 경우 단독빔(SBES) 혹은 MBES(복수빔)을 활용하여 관측하여야 하며 배의 자세나 파랑, 조석 등에 대한 보정이 필요하다. 특히 퇴적물 이동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쇄파대의 경우 선박의 접근이 용이하지 않으므로 제트 스키에 장비를 설치하여 관측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최근에는 소형 무인 선박에 GPS나 빔 장비를 설치하여 자동으로 관측하는 기술이 개발되어 향후 효과적으로 해안 지형에 대한 관측이 이루어 질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 해역별 사례해안 분석
① 동해안의 후정 해안은 1980년대의 원전 건설 이후 침식이 발생하고 있으며 그 원인은 원전 북쪽 방파제로 인하여 부구천의 토사와 북쪽으로부터 연안을 따라 이동해온 표사가 차단되고 또한 남쪽 도류제에 의한 차폐역에 남쪽으로부터 이동해온 표사가 갇힘으로서 표사의 이동이 이루어지지 않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침식 저감을 위해서는 부구천 하구와 도류제 남단에 과퇴적된 모래를 우회/순환 양빈을 통하여 침식이 이루어진 후정해안에 공급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때 이동식 형태의 샌드바이패싱 시스템을 활용하면 효과적일 것으로 보인다.
② 서해안의 운여 해안은 사취지형에 발달한 백사장이었으나 과거에 과도하게 이루어진 규사채취로 대부분의 사구는 이미 습지 형태의 저지대가 되었고 심각한 해안 침식이 발생하였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여러 차례에 걸쳐서 건설된 직립 호안이 오히려 침식을 가속화시킴에 따라 2005년에 양빈을 통한 사구 복원을 전향적으로 결정하여 시행하였으나 양빈 과정 중의 계속적인 침식과 양빈 제방의 유실로 인한 침수가 발생함에 따라 다시 경성공법으로 복귀, 현재는 완경사 호안을 건설한 상태이다. 운여 해안의 경우 과거 항공사진에 비추어 볼 때 이미 평형 상태에서 상당히 벗어난 것으로 보이며 이를 복원하기 위해서는 상당한 양의 양빈이 필요하며 이러한 모래들은 다시 북쪽의 황포항의 매몰에 기여할 것으로 보이므로 주의를 요한다. 일단은 불연속적으로 되어 있는 호안을 연속적으로 교정할 필요가 있으며 북쪽의 호안이 끝나는 부분에서의 말단부 효과를 방지하기 위하여 보강 작업이 필요하다.
③ 남해안의 송도 백사장은 우리나라에서 시행된 연안정비사업 중에서 잠제와 양빈의 복합 공법의 성공적인 사례로 판단되는 곳이며 또한 이례적으로 사업 후 5년간에 걸쳐서 장기간 사후 모니터링도 수행되었다. 송도 백사장의 경우 양빈+잠제의 복합 공법이 성공할 수 있는 요인을 갖추고 있는 해안이므로 이러한 성공 사례를 다른 해안에서 기대하는 것은 많은 주의를 요한다. 또한 향후 추가 양빈에 대한 조사 연구가 충분히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이고 이를 위해서는 장기 해안 변형 수치 모델을 통한 연구가 필요하다. 특히 인공 잠제의 경우 잠제 바깥쪽으로 유실된 모래는 자연적으로는 돌아올 수 없으므로 이를 감안하여야 할 것이다. 송도 백사장의 경우 지난 5년간의 사후 모니터링 외에 계속적인 모니터링을 통한 연구가 필요하며 비디오 모니터링과 같이 장기 무인 관측 시스템을 적용할 필요가 있다.
④ 갯벌의 중요성에 대한 새로운 인식과 함께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으나 아직 부족한 상태이며 특히 갯벌의 점착성이라는 추가적인 요인으로 인하여 사질 퇴적물에 비하여 그 기작이 훨씬 복잡하다. 우리나라 갯벌의 경우 저에너지 해안에서 변화가 없으리라는 예상과 달리 계절에 따라 상당한 변화가 있는 것으로 밝혀지고 있다. 잃어버린 갯벌에 대한 복원 사업도 이루어지고 있으며 유럽에서는 목책을 사용하기도 하고 일본에서는 갈고리 모양의 제방을 축조하여 퇴적을 유도함으로서 갯벌을 복원하기도 하며 우리나라에서도 인공 수초를 이용한 갯벌 형성 실험을 시도한 바 있다.
⑤ 침식 해안에서 이동된 모래는 인근 어항으로 이동하여 매몰을 발생시킨다. 강원도 영진항의 경우 항내로 유입하는 모래를 막기 위한 방사제가 오히려 매몰을 가속화시키기도 했다. 항내 매몰을 방지하는 방법으로는 항만 자체를 깊은 곳에 건설하거나 CDW를 설치하여 저층에서 항내로 유입되는 퇴적물을 방지하거나 혹은 강제로 항내의 퇴적물을 펌프를 이용하여 항외로 유출시키는 방법이 있다.
⑥ 2010년 개정된 법에 의하여 항만 준설토가 기준오염도를 초과하지 않은 경우 양빈에 활용 할 수 있게 되었다. 지금까지 항만 준설토의 경우 대부분 외해나 혹은 투기장에 투기하였으며 외국과 같이 해안 복원이나 양빈 등에 활용되지 못하였다. 변산 백사장의 경우 2011년 인근 송포항의 준설토를 백사장 정지 작업에 사용한 예가 있다. 향후에는 준설토의 증가와 투기장의 부족이 심화되는 경향이 있어서 준설토의 적극적인 활용이 필요하다. 특히 4대강 준설토의 상당한 양이 계획 없이 적치되어 있는 상황에 비추어 볼 때 이들 준설토의 해안 양빈 활용을 위한 조사와 연구가 시급한 실정이다.
□ 결론
① 기후 변화로 인한 해수면 상승과 태풍이나 너울 등 해안 변형을 발생시킬 수 있는 외력의 강도가 커짐을 고려할 때 향후 우리나라 해안의 계속적인 침식과 해안선 후퇴를 가정한 단계별 지역별 방호선 마련이 시급하며 이에 근거하여 연안 개발 및 보호 정책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② 해안에서의 퇴적물 이동에 중요한 요소인 쇄파대내 퇴적물 이동 기작 등 아직도 퇴적물 현상에 대한 정확한 이해가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이며 현장 관측 등 실험을 통하여 이에 대한 집중 연구가 필요하다. 특히 우리나라 서해안과 같이 조간대 환경은 쇄파대 자체가 주기적으로 왕복 이동을 하는 환경이므로 더욱 복잡하며 많은 연구가 필요한 실정이다.
③ 해안 지형 변화에 대한 대책을 마련하기 위해서는 해안 지형 변화에 대한 모니터링이 중요하다. 최근에 라이다 측량과 사진 기술과 같은 다양한 해안 측량 기술이 발달하였으며 이를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장기적이고 지속적인 해안 모니터링이 이루어지도록 하여야 할 것이다.
④ 경성공법의 경우 인근에 추가적인 침식이나 퇴적을 유발하는 경우가 많으며 양빈의 경우 공법에 의거하여 수행되었다고 하더라도 강한 외력에 의하여 빠른 시간에 유실이 발생되는 경우도 많다. 가장 부작용이 적은 침식 방지 대책을 마련하기 위해서는 현장 관측, 물리 모형 실험, 수치 모델 등 다양한 방법으로 접근하여야 하며 세분화된 전문가 집단을 형성하여 다각도로 문제를 해결하도록 노력하여야 할 것이다.
등록번호 | 청구기호 | 권별정보 | 자료실 | 이용여부 |
---|---|---|---|---|
T000036401 | 전자형태로만 열람 가능함 | 이용불가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