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표제지
목차
제1장 사업의 개요 26
1.1. 과업 목적 26
1.2. 과업 개요 26
1.2.1. 과업명 26
1.2.2. 과업기간 26
1.2.3. 과업대상지역 27
1.2.4. 과업의 범위 및 내용 28
1.3. 평화의댐 사업개요 29
1.3.1. 사업의 필요성 29
1.3.2. 평화의댐 사업개요 30
1.3.3. 사업추진경위 31
1.3.4. 사업의 주요 제원 32
제2장 사업지역의 개황 35
2.1. 위치 및 지형조사 35
2.1.1. 유역개황 35
2.1.2. 지형 및 지세 35
2.1.3. 하천현황 및 유역특성 36
2.1.4. 지질현황 39
2.2. 인문 및 사회 40
2.2.1. 행정구역 현황 40
2.2.2. 인구현황 41
2.2.3. 토지이용현황 43
2.3. 기상 및 기후 44
2.3.1. 기온 46
2.3.2. 강수량 47
2.3.3. 평균풍속 48
2.3.4. 상대습도 48
2.4. 교통 현황 49
2.4.1. 도로현황 49
2.4.2. 주변도로 교통량 현황 49
2.5. 문화재 현황 51
2.5.1. 화천군 문화재 현황 51
2.5.2. 양구군 문화재 현황 52
제3장 기본현황 및 현지조사 54
3.1. 기본 현황조사 54
3.1.1. 북한강수계 유역현황 54
3.1.2. 평화의댐 시공 및 보수보강 이력 63
3.1.3. 평화의댐 정밀점검(2010) 결과 검토 66
3.2. 현지조사 75
3.2.1. 측량조사 75
3.2.2. 지질조사 80
3.2.3. 재료원현황 조사 83
제4장 기존사업 성과 검토 95
4.1. 기존사업 수문검토 95
4.1.1. 평화의댐 건설사업(1단계) 기본설계(1987) 95
4.1.2. 평화의댐 건설사업(2단계) 기본설계(1989) 99
4.1.3. 평화의댐 증축(2단계) 사업 실시설계(2003) 102
4.1.4. 기존성과 비교·분석 및 금회 과업 적용 검토 109
4.2. 댐붕괴 해석조건 및 모의결과 113
4.2.1. 평화의댐 건설사업(1단계) 기본설계(1987) 113
4.2.2. 평화의댐 건설사업(2단계) 기본설계(1989) 120
4.2.3. 평화의댐 증축 건설사업(2단계) 실시설계(2003) 122
4.2.4. 기존 과업성과 비교검토 127
4.3. 홍수조절계획 및 홍수배제 능력 129
4.3.1. 검토개요 129
4.3.2. 임계지속시간의 결정 130
4.3.3. 평화의댐 배수터널 방류조건별 홍수량 및 홍수위 분석 131
4.3.4. 홍수조절방안 검토 결론 133
4.4. 기존댐의 치수능력증대방안 및 적용사례 134
4.4.1. 기존댐 치수능력증대사업 추진배경 134
4.4.2. 치수능력증대방안 134
4.4.3. 평화의댐에 적용가능한 구조적 및 비구조적 방안 135
제5장 수리·수문학적 안정성 평가 137
5.1. 개요 137
5.2. 수문분석 137
5.2.1. 확률강우량 산정 137
5.2.2. 확률홍수량 산정 163
5.2.3. 가능최대강수량(PMP) 산정 190
5.2.4. 가능최대홍수량(PMF) 산정 216
5.2.5. 기존성과 비교 검토 219
5.3. 임남댐 붕괴시 홍수추적 223
5.3.1. 임남댐 규모 추정 223
5.3.2. 저수지 홍수추적 225
5.4. 임남댐 붕괴에 따른 대응방안 수립 257
5.4.1. 댐체 월류 방안 259
5.4.2. 댐체 증고 방안 260
5.4.3. 터널식 보조여수로 263
5.4.4. 대안별 비교 264
5.4.5. 홍수조절계획 수립 265
5.4.6. 3차원 수치해석 267
제6장 치수능력증대방안 300
6.1. 주요 구조물 계획 300
6.2. 기존 시설물 보완 및 활용방안 304
6.2.1. 평화의댐 기존 방류시설 304
6.2.2. 매설계기 308
6.3. 하류가물막이 309
6.3.1. 개요 309
6.3.2. 가물막이 위치 및 규모 309
6.3.3. 가물막이 형식 310
6.3.4. 기타 대안검토(화천댐 수위 조절) 313
6.4. 공사용가설비 314
6.4.1. 가설부지 및 가설건물 314
6.4.2. 콘크리트 생산설비 318
6.4.3. 급수설비 321
6.4.4. 전기 및 전자통신설비 322
6.4.5. 환경보호설비 326
6.5. 우회도로 및 공사용도로 331
6.5.1. 개요 331
6.5.2. 기존도로 현황 331
6.5.3. 설계기준 333
6.5.4. 노선선정 337
6.5.5. 댐하류 교량 339
6.6. 본댐 340
6.6.1. 개요 340
6.6.2. 댐 구조물 설계 342
6.6.3. 댐 안전성 검토 356
6.6.4. 도류벽 지내력 검토 380
6.6.5. 계측결과를 이용한 현 제체 안전성 검토 388
6.6.6. 매설계기 설치계획 391
6.6.7. 도류벽 구조물 설계 392
6.7. 조경계획 397
6.7.1. 기본방향 397
6.7.2. 관련계획 검토 397
6.7.3. 평화의 댐 주변 조경계획 401
6.8. 홍수예·경보설비 417
6.8.1. 개요 417
6.8.2. 시설계획 418
6.9. 홍수범람도 작성 425
6.9.1. GIS와의 연계과정 425
6.9.2. 대피계획도의 작성 438
제7장 사업비 및 연차별 투자계획 445
7.1. 사업비 445
7.1.1. 개요 445
7.1.2. 사업비 445
7.2. 연차별 투자계획 445
첨부 447
첨부 #1. 자문 조치결과서 447
이종태 위원 448
이재응 위원 451
원유승 위원 453
첨부 #2. 기술심의 조치결과서 461
김봉재 위원 462
차기욱 위원 468
김혁호 위원 478
임병민 위원 487
장봉석 위원 491
안희복 위원 495
〈그림 1.2.1〉 과업유역도 27
〈그림 2.1.1〉 하천모식도 36
〈그림 2.1.2〉 표고분포별 면적비 현황 38
〈그림 2.1.3〉 표고분포별 누가면적비 현황 38
〈그림 2.2.1〉 평화의댐 유역 행정구역도 40
〈그림 2.2.2〉 인구추이 현황 42
〈그림 2.2.3〉 토지이용현황 43
〈그림 2.3.1〉 유역인근 기상관측소 위치도 44
〈그림 2.3.2〉 월별 기온현황(춘천관측소) 46
〈그림 2.3.3〉 월별 기온현황(인제관측소) 46
〈그림 2.3.4〉 관측소별 월별 강수량현황 47
〈그림 2.3.5〉 연평균강수량 경향성 분석 47
〈그림 2.3.6〉 관측소별 월별 평균풍속 48
〈그림 2.3.7〉 관측소별 월별 상대습도 48
〈그림 2.4.1〉 평화의댐 주변 교통망도 50
〈그림 3.1.1〉 북한강 수계 현황도 55
〈그림 3.1.2〉 임남댐 및 여수로전경(2012년 3월 백암산에서 촬영) 57
〈그림 3.1.3〉 임남댐 모식도 58
〈그림 3.1.4〉 평화의댐 단면도 60
〈그림 3.1.5〉 평화의댐 평면도 60
〈그림 3.1.6〉 평화의댐 현황사진 61
〈그림 3.1.7〉 기타시설물 현황사진 62
〈그림 3.1.8〉 댐 제체 상세외관조사망도 구분 66
〈그림 3.2.1〉 시추조사 위치도 80
〈그림 3.2.2〉 사력재료원-1 위치도 86
〈그림 3.2.3〉 사력재료원-2 위치도 87
〈그림 3.2.4〉 사력재료원-3 위치도 88
〈그림 3.2.5〉 석산 시추조사 위치도 90
〈그림 4.1.1〉 홍수량 산정을 위한 유역분할 108
〈그림 4.2.1〉 Fill dam 붕괴부의 형상 122
〈그림 4.3.1〉 화천댐 비상방류구 설치현황 129
〈그림 5.2.1〉 확률강우량 산정 흐름도 138
〈그림 5.2.2〉 우량관측소 위치도 139
〈그림 5.2.3〉 홍수량 산정 절차도 163
〈그림 5.2.4〉 인제기상관측소의 무차원 누가곡선 165
〈그림 5.2.5〉 소유역분할 및 홍수량 산정지점 167
〈그림 5.2.6〉 Clark 단위도의 개념 177
〈그림 5.2.7〉 유역 형상에 따른 합성 도달시간-누가면적 179
〈그림 5.2.8〉 하도구간의 저류량-유출량 관계곡선 180
〈그림 5.2.9〉 홍수위 상승시 및 하강시의 하도구간 저류량의 형태 변화 181
〈그림 5.2.10〉 자연하도에 있어서의 대형저류와 쐐기저류 182
〈그림 5.2.11〉 실측홍수사상을 이용한 매개변수 보정(1990년 9월) 184
〈그림 5.2.12〉 실측홍수사상을 이용한 매개변수 보정(1995년 8월) 185
〈그림 5.2.13〉 실측홍수사상을 이용한 매개변수 보정(2002년 8월) 185
〈그림 5.2.14〉 실측홍수사상을 이용한 매개변수 보정(2006년 7월) 185
〈그림 5.2.15〉 임남댐 및 평화의댐 200년빈도 홍수수문곡선 187
〈그림 5.2.16〉 PMP 산정 절차도 191
〈그림 5.2.17〉 다항식 모형과 스플라인 모형의 비교 197
〈그림 5.2.18〉 6-hr 증분에 대한 within/without-storm 평균곡선 202
〈그림 5.2.19〉 Spline 곡선 방법에 의한 포락 209
〈그림 5.2.20〉 가상호우의 등우선 배치 210
〈그림 5.3.1〉 임남댐 전경(2012년 3월 백암산에서 촬영) 224
〈그림 5.3.2〉 임남댐 여수로 건설현황 224
〈그림 5.3.3〉 임남댐 추정 규모 225
〈그림 5.3.4〉 물의 흐름 226
〈그림 5.3.5〉 임남댐 단면 현황 227
〈그림 5.3.6〉 임남댐 가상붕괴단면 230
〈그림 5.3.7〉 임남댐 직하류부의 붕괴유출수문곡선 233
〈그림 5.3.8〉 임남댐 직하류부의 수위수문곡선 234
〈그림 5.3.9〉 하도구성 자료 235
〈그림 5.3.10〉 댐 위치 종단 및 주요 수위 235
〈그림 5.3.11〉 임남댐~화천댐 구간의 종단형상 240
〈그림 5.3.12〉 평화의댐 직상류부의 초기수위별 최고홍수위 243
〈그림 5.3.13〉 화천댐 직상류부의 초기수위별 최고홍수위 245
〈그림 5.3.14〉 댐 붕괴에 따른 지점별 유량수문곡선(Case-1 : EL.304m) 247
〈그림 5.3.15〉 댐 붕괴에 따른 첨두홍수량의 종단형상(Case-1 : EL.304m) 248
〈그림 5.3.16〉 댐 붕괴에 따른 최고홍수위의 종단형상(Case-1 : EL.304m) 248
〈그림 5.3.17〉 댐 붕괴에 따른 지점별 유량수문곡선(Case-2 : EL.310m) 250
〈그림 5.3.18〉 댐 붕괴에 따른 첨두홍수량의 종단형상(Case-2 : EL.310m) 251
〈그림 5.3.19〉 댐 붕괴에 따른 최고홍수위의 종단형상(Case-2 : EL.310m) 251
〈그림 5.3.20〉 임남댐 및 평화의댐 홍수위곡선(EL.304.0m) 255
〈그림 5.3.21〉 임남댐 및 평화의댐 홍수위곡선(EL.310.0m) 256
〈그림 5.4.1〉 저수지 홍수추적 결과(지속시간 42시간) 260
〈그림 5.4.2〉 유량수문곡선 266
〈그림 5.4.3〉 수위수문곡선 266
〈그림 5.4.4〉 평화의댐 지형 및 모델링 형상 270
〈그림 5.4.5〉 3차원 지형 및 구조물 모델링 절차 271
〈그림 5.4.6〉 평화의댐 방류시설 입·출구부 형상 272
〈그림 5.4.7〉 평화의댐 방류시설 입·출구부 형상 273
〈그림 5.4.3〉 해석에 적용된 계산 영역 274
〈그림 5.4.9〉 배수터널 방류시 수위-방류량 곡선 277
〈그림 5.4.10〉 평화의댐 배수터널 방류시 3차원 유황 277
〈그림 5.4.11〉 상·하류연결터널 방류시 수위-방류량 곡선 282
〈그림 5.4.12〉 상·하류연결터널 방류시 3차원 유황 283
〈그림 5.4.13〉 평화터널 방류시 수위-방류량 곡선 285
〈그림 5.4.14〉 평화터덜 방류시 3차원 유황 285
〈그림 5.4.15〉 댐 제체 방류시 수위-방류량 곡선 286
〈그림 5.4.16〉 댐 제체 방류시 3차원 유황 287
〈그림 5.4.17〉 전체해석 200년 빈도 방류시 3차원유황(기존성과 검토) 289
〈그림 5.4.18〉 배수터빌 입구부 평면유속분포(기존성과 검토, 200년 빈도) 289
〈그림 5.4.19〉 배수터널 출구부 평면유속분포(기존성과 검토, 200년 빈도) 290
〈그림 5.4.20〉 상·하류연결터널 입구부 평면유속분포(기존성과 검토, 200년 빈도) 290
〈그림 5.4.21〉 상·하류연결터널 출구부 평면유속분포(기존성과 검토, 200년 빈도) 291
〈그림 5.4.22〉 전체해석 PMF 방류시 3차원유황 292
〈그림 5.4.23〉 PMF 방류시 댐체 3차원 유황(금회) 292
〈그림 5.4.24〉 PMF 방류시 댐체 도류부 및 감세부 유황(금회) 295
〈그림 5.4.25〉 상·하류연결터널 및 평화터널 3차원 유황(금회) 296
〈그림 5.4.26〉 상·하류연결터널 입·출구부 평면유속분포(금회) 296
〈그림 5.4.27〉 배수터널 3차원유황(금회) 297
〈그림 5.4.28〉 배수터널 입구부 평면유속분포(금회) 297
〈그림 5.4.29〉 배수터널 출구부 평면유속분포(금회) 298
〈그림 6.1.1〉 전체계획평면도 303
〈그림 6.1.2〉 공사계획평면도 303
〈그림 6.2.1〉 배수터널 위치도 304
〈그림 6.2.2〉 배수터널 전경 305
〈그림 6.2.3〉 연결터널 위치도 306
〈그림 6.2.4〉 상·하류 연결터널 전경 306
〈그림 6.2.5〉 평화터널 위치도 307
〈그림 6.2.6〉 평화터널 전경 307
〈그림 6.2.7〉 차수벽 계측기기 배치도 308
〈그림 6.3.1〉 가물막이 계획평면도 309
〈그림 6.3.2〉 가물막이 표준단면도 312
〈그림 6.4.1〉 공사용 가설부지 배치도 314
〈그림 6.4.2〉 응집침전지 방식 탁수처리 개요 327
〈그림 6.4.3〉 오탁방지막 설치위치도 328
〈그림 6.5.1〉 1단계 진입도로 노선배치도 331
〈그림 6.5.2〉 1단계 표준횡단면도 332
〈그림 6.5.3〉 2단계 진입도로 노선배치도 332
〈그림 6.5.4〉 2단계 표준횡단면도 333
〈그림 6.5.5〉 표준횡단면도 337
〈그림 6.5.6〉 우회도로 및 공사용도로계획 338
〈그림 6.6.1〉 댐체 월류시설 표준단면도 341
〈그림 6.6.2〉 댐 정상부 표준단면 342
〈그림 6.6.3〉 월류웨어 단면형상 344
〈그림 6.6.4〉 하류부 관리용도로 346
〈그림 6.6.5〉 Facing 콘크리트 표준단면도 346
〈그림 6.6.6〉 급경사 수로 및 도류벽 위치도 349
〈그림 6.6.7〉 측벽(도류벽) 전개도 좌안 350
〈그림 6.6.8〉 측벽(도류벽) 전개도 우안 350
〈그림 6.6.9〉 수중 버켓 단면도 352
〈그림 6.6.10〉 수중 버켓 개념도 353
〈그림 6.6.11〉 Solid Bucket의 설계제원 353
〈그림 6.6.12〉 Solid Bucket의 Fr과 h₂ 353
〈그림 6.6.13〉 Sloted Bucket의 설계제원 354
〈그림 6.6.14〉 Sloted Bucket 계획 355
〈그림 6.6.15〉 표준단면도 356
〈그림 6.6.16〉 Hyperbolic Model의 응력-변형곡선 360
〈그림 6.6.17〉 해석단면 및 하중적용 개념도 362
〈그림 6.6.18〉 해석단계 363
〈그림 6.6.19〉 처짐비 개념도 366
〈그림 6.6.20〉 대표단면 369
〈그림 6.6.21〉 하중적용 방법 369
〈그림 6.6.22〉 SLOPE STABILITY ANALYSIS 376
〈그림 6.6.23〉 Ksp의 영향인자[이미지참조] 382
〈그림 6.6.24〉 탄성침하의 영향계수 386
〈그림 6.6.25〉 No.6, 7 침하량 그래프 388
〈그림 6.6.26〉 표면침하측정계 배치도 389
〈그림 6.6.27〉 STA.D.19+15 표면침하측정계 389
〈그림 6.6.28〉 STA.D.26 표면침하측정계 390
〈그림 6.6.29〉 STA.D.32 표면침하측정계 390
〈그림 6.6.30〉 시공중 매설계기 설치계획 391
〈그림 6.6.31〉 운용중 매설계기 설치계획 391
〈그림 6.7.1〉 화천군 중심권역 설정 397
〈그림 6.7.2〉 화천군 친환경 동선체계 398
〈그림 6.7.3〉 화천군 권역별 특화 관광자원 399
〈그림 6.7.4〉 화천평화생태특구 조성사업 400
〈그림 6.7.5〉 국제평화 아트파크 예시 401
〈그림 6.7.6〉 평화의댐 조경 기본계획 402
〈그림 6.7.7〉 댐체 전경 403
〈그림 6.7.8〉 댐체벽화 예시 - 전쟁, 평화, 상징, 트릭아트 404
〈그림 6.7.9〉 댐상부 입구광장 405
〈그림 6.7.10〉 광장부 휴게공간 조성 예시 405
〈그림 6.7.11〉 석부조벽화 상부사면 조형물 예시 406
〈그림 6.7.12〉 터널입구부 전경 407
〈그림 6.7.13〉 터널입구부 리모델링 예시도 407
〈그림 6.7.14〉 광장 및 비목공원 전경 408
〈그림 6.7.15〉 포토존 예시 408
〈그림 6.7.16〉 댐하류 공원부지 조성위치 409
〈그림 6.7.17〉 오토캠핑장 예시 409
〈그림 6.7.18〉 주요 도입수목의 이미지 411
〈그림 6.7.19〉 오토캠핑장 기반시설 예시 412
〈그림 6.7.20〉 물문화관 전경 413
〈그림 6.7.21〉 준공기념탑 예시 413
〈그림 6.7.22〉 댐주변 광장 전경 414
〈그림 6.7.23〉 스카이워크 및 짚라인 예시 414
〈그림 6.7.24〉 물문화관 전경 415
〈그림 6.7.25〉 전시관 및 영상실 예시 415
〈그림 6.8.1〉 홍수예·경보설비 위치도 421
〈그림 6.8.2〉 홍수예·경보설비 시스템 구성도 424
〈그림 6.9.1〉 지형자료 구축과정 425
〈그림 6.9.2〉 수치지도(임남댐~평화의댐) 426
〈그림 6.9.3〉 수치지도(평화의댐~화천댐) 426
〈그림 6.9.4〉 지형 coverage(contour)(임남댐~평화의댐) 428
〈그림 6.9.5〉 지형 coverage(contour)(평화의댐~화천댐) 428
〈그림 6.9.6〉 하천 coverage(water)(임남댐~평화의댐) 429
〈그림 6.9.7〉 하천 coverage(water)(평화의댐~화천댐) 429
〈그림 6.9.8〉 경계 coverage(boundary)(임남댐~평화의댐) 430
〈그림 6.9.9〉 경계 coverage(boundary)(평화의댐~화천댐) 430
〈그림 6.9.10〉 생성된 지형 TIN(임남댐~평화의댐) 431
〈그림 6.9.11〉 생성된 지형 TIN(평화의댐~화천댐) 431
〈그림 6.9.12〉 생성된 수위 TIN(임남댐~평화의댐) 432
〈그림 6.9.13〉 생성된 수위 TIN(평화의댐~화천댐) 432
〈그림 6.9.14〉 지형 GRID(임남댐~평화의댐) 433
〈그림 6.9.15〉 지형 GRID(평화의댐~화천댐) 433
〈그림 6.9.16〉 수위 GRID(임남댐~평화의댐) 434
〈그림 6.9.17〉 수위 GRID(평화의댐~화천댐) 434
〈그림 6.9.18〉 변환된 CAD 수심선(평화의댐~화천댐) 435
〈그림 6.9.19〉 Hatch된 수심 CAD polygon(평화의댐~화천댐) 436
〈그림 6.9.20〉 Hatch된 수심 CAD polygon(임남댐~평화의댐) 436
〈그림 6.9.21〉 Hatch된 수심 CAD polygon(평화의댐~화천댐) 437
〈그림 6.9.22〉 홍수범람예측지도 작성과정 438
〈그림 6.9.23〉 홍수위험정보의 활용방안 440
〈그림 6.9.24〉 임남댐 홍수범람예측지도(임남댐~평화의댐) 442
〈그림 6.9.25〉 임남댐 홍수범람예측지도(평화의댐~화천댐) 443
등록번호 | 청구기호 | 권별정보 | 자료실 | 이용여부 |
---|---|---|---|---|
0002214799 | 627.8 -16-6 | 서울관 서고(열람신청 후 1층 대출대) | 이용가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